아하
고민상담

대학교 생활

노란종다리27
노란종다리27

미국에서 석사과정 실보다 득이 많을까요

저는 스카이 경영학과인데 요즘 외국에서 석사과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장학금을 받고 간다고 가정했을 때, 취업이 2년+a 미뤄지고 석사를 한다고 높은 연봉을 받는 것이 보장되는 것은 아닌데, 기회비용보다 득이 많을까요? 2년 후에 취업해도 돈을 빨리 모을 수 있을까요.. 경험자의 조언이 절실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일러스
    사일러스

    나도 대학원에 진학했을때, 교수님들이 9/10이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팼는데,

    그것도 허와 실이 있다고 하더군요.

    개인적으로는 학부+석사를 국내 대학에서 마치고, 박사 학위를 외국에서 취득하는 것을 권합니다.

  • 저같은 경우 해외에서 고등핟교를 나와서 지인 반은 해외 대학으로 진학 하였는데

    학사 아니면 박사를 하는거 같더라구요. 석사는 위치사으애매란거 같습니다. 미국 대학도 박사는 상당란 노력과 자금이 들어가서 국내대학 대학원 처럼 학사 아니면 박사를 가는기 맞는거 같아요.

  • 석사과정에 투자하는 것이 항상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커리어 목표: 석사학위를 획득하면 향후의 진로에 도움이 될 것인지 고려해야 합니다. 목표하는 직업이나 업무 분야에 필요한 학위인지 확인하고, 석사학위가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1. 학비 및 생활비: 석사과정에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학비와 생활비를 고려해야 합니다. 장학금이나 기타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것만으로 충분히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2. 취업 시장과 연봉: 해당 분야의 취업 시장과 연봉 동향을 조사하여 석사학위를 획득한 후 취업 시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 분야에서는 석사학위 소지자에 대한 수요가 높을 수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석사학위가 큰 차이를 만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3. 기회비용: 석사학위를 획득하는 동안 잃게 되는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취업을 미루는 동안 잃게 되는 잠재적인 수입과 경력 개발 기회를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