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골디락스 상태의 경제 상황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골디락스라고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골디락스라고 하던데요~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이 골디락스 상태의 경제상황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골디락스 경제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물가가 안정되어 있어서 차갑지도 않고 실업률이 높지 않고 적당한 상황으로 뜨겁지도 않은 상황에서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이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물가가 높고 실업률 또한 낮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골디락스 경제라고 표현하기는 힘들어요

  • 우리나라 경제가 항상 골디락스 상태였던 적은 없지만, 일부 기간에는 안정적인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율, 실업률 등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며 골디락스에 근접한 상태였던 적이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 골디락스 상태의 경제 상황이 있었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골디락스의 경제 상황이란 경제 성장이 계속되지만 동시에 물가는 크게 상승하지 않는 상황으로

    아직까지 한국에선 눈에 띄는 골디락스 상태의 경제 상황을 경험해 본 적이 아직은 없습니다.

    얼른 골디락스 경제의 상황으로 진입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이 골디락스 상태가 됐던 적은 2000년 중반 세계 경제 호황기에 높은 경제 성장률, 낮은 실업률, 안정된 물가 상승률을 경험하면서 일시적으로 근접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태는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에 취약해서 지속 가능한 상태가 아니었기에 이상적인 골디락스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 모든 것이 완벽했던 경제상황은 우리나라 80년대 후반 90년대 초반이 그러한 경제였습니다

    • 금리가 높지만 성장률이 금리 보다 더 높았기 때문에 성장속도도 빠르고 외환시장도 안정될 수 있었습니다.

    • 현재 미국도 골디락스를 꿈꿀 수 있었던 것이 기준금리가 높은데 경제 성장률도 높았기 때문입니다.

    • 당시에 우리나라는 경제 호황이였고 현재 대기업의 태동을 만든 기반이 되었던 시기입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 있어 골디락스 상태를 고르라고 하면 무엇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듯 합니다.

    2016년에 물가상승률이 이상적이면서 주가지수 역시 우상향한 것으로 보아, 2016년 경을 골디락스 상태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1980년대 말 정도가 경제가 상당히 좋은 흐름이었기에 이 떄 당시가 골디락스 상태였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한국 경제는 특성 상 국외 경제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한국 경제 단독으로 안정적인 물가 하에서 경제가 성장하는 골디락스 시기를 겪은 바는 없습니다.

    가장 최근 예는 2000년대 초반에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7년 정도라고 할 수 있고 미국 등 글로벌 경제가 활황인 시기였습니다.

  • 골디락스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운 적당한 상태입니다 경제에서는 전반적인 지표들이 안정적이면서 지속 성장을 하눈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골디락스를 찾기 어렵습니다

    미국이 보통 경제학자들이 꼽는 사례인데 2000년 전후 10여년을 말합니다

    이때 아이티기술 발전으로 지속 성장과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의 값싼 노동력으로 저렴한 물가가 유지되었습니다

  •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이다.

    골디락스란 용어가 경제분야에서 자주 사용된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당시 미국경제는 수년간 4%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하면서도 낮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태를 유지하는 이례적인 호경기를 누렸다. 많은 전문가들은 1990년대 후반 미국 경제상황을 가리켜 골디락스 혹은 골디락스 경제라고 표현하고 있다. 당시 미국경제는 정보기술(IT)등으로 대변되는 신기술의 발달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물가상승을 동반하지도 않고도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지는 2004년 중국경제가 9.5%의 고도성장을 이루면서 물가상승이 거의 없었다며, 중국경제가 골디락스에 진입하였다고 기사화하기도 하였다.

  • ✅️ 아예 없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언제나 조금은 과열되어있거나, 조금은 침체되어있던 적이 더 많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실물경제에서 골디락스 상태를 만들기는 정책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기에 그렇다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