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박은 왜떨어지는건가요? 궁금궁금
오늘 우박을 맞았는데 신기하더라구요 원리가 귱금해요 조금더 따뜻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물방울이 응결된 상태에서 어떻게 되는건지 아무래도 온도차이겟죠? 어려운 과학세계입니다 부탁드려요 잘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에서는 상승하면 기온이 내려갑니다 수증기가 응결하요 구름이되는데 구름의 물방울이 지표로 떨어지다가 얼어서 떨어지면 우박이 됩니다 수증기가 녹지않고 기쳐가 바로 고체로 승화된것은 눈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끊임없이 서로 충돌하고 응결하며 성장한 물방울이 다시 상승하면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고체 상태가 되어 지평면으로 추락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수록 우박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서로 충돌하여 빙점을 형성한 후 응결에 의해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박이 형성된다. 또한,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이 우박 발생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우박의 크기와 형태는 지역적인 기후 조건과 고도, 대기 중의 이물질 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보통 구름이 많은 비올 때나, 폭풍우나 강한 대기 이동이 있는 때에 발생한다.
안녕하세요. 배영광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 중 눈의 결정에 찬 물방울이 모여 그것들이 얼면서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우박은 뭉게구름 혹은 뇌운과 한께 천둥, 번개, 비를 동반하여 내리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기전 높은 상공은 기온이 낮기 때문에 얼음 상태로 존재 합니다. 이 얼음이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되고 미처 녹지 않고 그냥 떨어지면 눈이나 얼음 알갱이 형태로 떨어지게 됩니다.
아마 겨울에 보신껀 아주 작은 알갱이 얼음일겁니다. 그건 우박이라기 보다는 싸라기눈으로 보는게 더 가깝습니다.
큰 얼음 알갱이의 우박은 주로 여름철에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발생합니다. 떨어져야할 얼음이 상승기류로 인해 계속 오르락 내리락 반복하며 주변 수증기를 흡수하여 점점 커지다가 무게가 무거워지거나 상승기류가 없어지면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크기가 커서 녹지 못하고 떨어지게되는데 그것이 우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불안정한 기류때문에 발생합니다.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서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 상승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구름층에서 빙정상태로 변하게 되고, 하강기류가 생기면 눈이나 빙정이 떨어져 내려 강한 비가됩니다. 또 수증기가 다시 상승 기류를 타고 높이 올라가면 재차 빙정이나 눈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렇게 상승과 하강을 여러 번 거치면서 우박은 점점 크게 성장했다가 상승 기류가 약해지면 무게를 지탱할 수 없게 되어 지면으로 떨어집니다.주로 지표면의 온도가 높아지는 오후에 많이 생기지만, 한 여름에는 우박이 쏟아지는 도중에 대부분 녹아버리기 때문에 초여름이나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