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음력의 마지막날에 뜨는 달인 그믐달보다 더 작게 뜨는 달도 있나요?

음력의 마지막날에 뜨는 달을 그믐달이라고 하는데요. 그믐달은 달이 가장 작은 상태로 알고 있는데 그믐달보다도 더 작게 뜨는 경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햇빛을 반사하는 면적에 따라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 이런식으로 이름을 붙여놨지만

      그믐달이 되기전 달이 지구의 그림자가 비추기 시작할때의 달이라면 그믐달보다 작을 수 있을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뜨는 크기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원형 궤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달이 태양 주위를 돌면서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집니다. 이러한 거리의 차이에 따라 달의 크기가 변하는 현상을 "달의 근지점"과 "달의 원지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력의 마지막날에 뜨는 달은 그믐달로, 이 때 달이 가장 크게 보입니다. 이후에는 점점 작아지는데, 음력의 첫날에 뜨는 달인 초승달이 가장 작게 보입니다. 따라서 음력의 마지막날에 뜨는 달인 그믐달보다 더 작게 뜨는 달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력 마지막 날에 뜨는 달은

      그믐달이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그믐달은 달이 가장 작게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믐달보다

      더 작게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달은 지구를 27.3일 주기로 공전하며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356500km에서 406700km까지 변합니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울 때는 근지점이라고

      하며 가장 멀 때는 원지점이라고 합니다.

      근지점에서 볼 때 달은 원지점에서 볼

      때보다 약 14% 더 크게 보입니다.

      해질녘 또는 해돋이 직후:

      대기 굴절로 인해 달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믐달은 지평선 가까이에 뜨기 때문에

      대기 굴절의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그 결과 실제로는 그믐달보다

      더 크지만 대기 굴절로 인해 더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달이 남중할 때:

      달이 남중할 때는 지구 중심에 가장 가까이

      있지만 지평선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지는 않습니다.

      지평선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달은 대기 굴절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그 결과 실제로는 그믐달보다 더 크지만 대기

      굴절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더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달의 밝기:

      달은 태양빛을 반사하여 빛나는데

      달의 밝기는 태양과 달 사이의 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믐달은 태양과 달 사이의 각도가

      가장 작아 가장 어둡게 보입니다.

      어두운 달은 실제보다 더 작게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