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위용있는퓨마245
위용있는퓨마245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주식시장에서 자주 듣는 단어는 아니지만

지수가 낙폭을 할 때 뉴스에 많이 나오는 용어들인데요.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귀한박쥐27
    고귀한박쥐27

    서킷브레이커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이다.

    2015년 6월 가격제한폭이 상하 30%로 확대되면서

    서킷브레이커가 3단계로 세분화되었다.

    1단계는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이상 하락한 경우 발동

    1단계는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2단계는 전일에 비래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 대비

    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이후는 1단계와 마찬가지로 20분 정지 후 10분간 단일가매매 이후 재개

    3단계는 전일 대비 20%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 발동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주식거래가 종료된다.

    주식시장에서 자주 듣는 단어는 아니지만

    지수가 낙폭을 할 때 뉴스에 많이 나오는 용어들이죠?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공부해봐요

    서킷브레이커란 무엇인가?

    서킷브레이커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이다.

    2015년 6월 가격제한폭이 상하 30%로 확대되면서

    서킷브레이커가 3단계로 세분화되었다.

    1단계는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이상 하락한 경우 발동

    1단계는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2단계는 전일에 비래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 대비

    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이후는 1단계와 마찬가지로 20분 정지 후 10분간 단일가매매 이후 재개

    3단계는 전일 대비 20%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 발동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주식거래가 종료된다.

    사이드카란 무엇인가?

    사이드카란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이상 변동한 시세가

    1분간 지속될 경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호가는

    5분간 정지되는 조치를 일컫는다.

    사이드카는 발동 5분 후 자동 해제되며 하루 한 차례만 발동한다.

    또한 주식 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하지 않는다.

    사이드카는 서킷브레이커 전 단계로 증권시장의 경계경보라 할 수 있다.

  • 서킷브레이크는 전기회로장치가 기열되면 전류를 차단하는 회로보호장치를 말합니다. 이를 주식시장에 적용한 것인데, 코스피나 코스닥지수가 전날 종가대비 10% 넘게 급등락ㄹ 1분이상 지속시 20분간 정지 시킵니다. 9시5분부터 2시50분까지만 가능합니다.

    사이드카의 경우 주식시장의 급등락을 막기위해 프로그램매매를 잠깐 멈추는 제도인데, 코스피 코스닥 선물이 전날보다 5%, 6% 급등락 상태 1분간 지속시 5분간 매매정지 시키는 곳을 말합니다.

    원하는 답변인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