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18세기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된 이유는 뭘까요?
조선시대 족보를 통해 인구추이를 살펴보면 17세기에는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는데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인구증가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17~18세기 양란을 극복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그리고 이앙법, 이모작 등으로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자연재해와 기근, 질병(천연두)이 빈번이 발생하면서 인구 증가가 둔화되었습니다. 또한 19세기 세도정치로 인한 탐관오리의 수탈로 삼정이 문란하며서 민생이 악화되어 출산율이 감소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18세기 후반부터 인구가 정체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9세기는 기후학적으로 볼 때 전세계적으로 '마지막 소빙기'에 해당되어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한 시기였습니다. 이로 인해 홍수 혹은 가뭄 등
재해와 기근이 빈발하게 되었고, 그것이 인구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있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