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따뜻한홍학154
따뜻한홍학15423.02.24

자동차도 비행기처럼 빠르게 갈수 있으면 날수 있을까요?

자동차도 빠른 스포츠카 종류들이 있는데 비행기처럼 날아갈수 있을까요?

비행기처럼 프로펠라를 달아야 날수 있으려나요?

그럼 자동차가 아니라 비행기가 되는건데

역시 어려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가 날아다니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 비행기가 공중에 떠있는 것은 공기의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날아가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날개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모양과 각도가 적용되어 있어 공기의 압력 차이를 만들어내어 비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날개나 공기 저항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공중에서 날아다니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과 구조는 고속 주행에 최적화되어 있어 공중에서 날아다닐 때 필요한 엔진의 출력과 구조는 매우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 기술로는 자동차가 비행기처럼 빠르게 날아다닐 수 있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날기 위해서는 중력에 저항하는 추진력 뿐만 아니라 양력이 필요합니다. 양력을 위해서는 유선형 모양의 날개나 프로펠러가 필요하기에 자동차의 디자인만으로는 비행기처럼 날아갈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비행 원리는 바로 공기의 역학적인 원리인 베르누이의 원리와 뉴턴의 제 3 법칙에 근거합니다.

    비행기는 공기 중에서 날아가기 때문에, 공기의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비행합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서는 위로 휘어지도록 곡률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비행기가 비행 중일 때, 날개 위쪽은 공기의 속도가 빠르고 압력이 작아지게 되고, 날개 아래쪽은 공기의 속도가 느리고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압력 차이가 발생하면, 날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비행기가 날아갈 수 있습니다.

    즉, 날개가 없으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비행기와는 다르게 지상에서 바퀴로 지탱되면서 이동합니다. 따라서 자동차는 공기 저항이 크고, 지상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또한 자동차의 구조가 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자동차로 날아다닐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역시 항력을 줄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이렇게 될 경우 안전상의 문제 특히 지표면 상에 사람들에 대한 안전문제가 많은 영향이 있을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로는 비행이 불가능합니다. 자동차는 지표면과 마찰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데 비해, 비행기는 공기 중에 날개를 이용해 양력을 얻어서 날아갑니다. 따라서, 자동차로는 충분한 속도를 내도 비행이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은 날 수 없습니다. 자동차는 비행기처럼 나수 있는 형상으로 생기지 않았기 때문에 날수 없습니다.

    아무리 빨리 달려도 양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 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자동차도 비행기처럼빨리 달리고 날개가 있다면 날라다니겠죠?

    그러면 또 비행기와 다를게 없고.

    제 생각엔 비행 후에 비행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퀴의 힘이 아니라 (공중에 떠있으니)

    비행기처럼 뒤에 제트엔진이 있어야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