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말쑥한라마카크231
말쑥한라마카크23123.12.30

물이 얼면 얼음이 되면서 왜 부피가 커지나요?

생수 패트병은 그대로 얼음을 얼리면 가끔 패트병이 터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건 물이 얼면서 커져서 그렇다고 하는데요

왜 물은 얼어서 얼음이 되면 왜 부피가 커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물은 액체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커지는 유일한 물질입니다.

    그 이유는 수소결합 때문입니다.

    수소결합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공간이 생겨서 부피가 커집니다.


  • 안녕하세요. 착함 멋진 봉이(--)(__)입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 부피가 1.1배 정도 늘어나는데요 대부분은 액체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예욉니다

    액체가 고체가 되면 오히려 부피가 증가합니다

    그래서 물보다 얼음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얼음은 물위에 떠있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자한땅돼지150입니다.

    물 분자 각각의 수소와 산소가 서로 끌어당기게 됩니다.

    바로 이러한 분자간의 결합이 수소결합입니다.

    얼음의 부피 팽창은 이 수소 결합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도로밍입니다.

    이는 물의 분자 구조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물은 얼음(고체 상태)이 되면서, 더 부피가 커지는 배열 구조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얼음이 되면 부피가 늘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