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고금리 시대 투자처는 없는걸까요? 적금이라도 들어야하나요?

요즘 금리가 높아지면서 주식시장도 크게 요동치고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럴때는 어떤 투자를 해야 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금리인상 정책으로 내일 한행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되어 있는데 주식시장 및 코인시장도 투자심리위축에 따른 어려운상황에서 예,적금이 그나마 안전한 투자가 아닐까 생각됩니다.리스크가 전혀 없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엇이든지 몰빵식의 투자는 옳지 않습니다. 현재 금리인상등으로 주가가 약세이지만 결국 약세시장에 진입을 시작해야 향후 큰 수입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일부는 약세이든 강세이든 예금이나 적금을 들어놓으시는 것도 좋습니다.

      IBK에서는 예금과 적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예금이란?

      예금이란 일정 기간을 정해놓고 자신의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을 말하는데, 예금 방법에 따라 보통예금, 당좌예금, 별단예금, 정기예금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예금은 일정 금액, 예를 들어 1억 원을 예금한다면, 1억을 한번에 은행에 넣고 정해진 기간 동안 중도에 찾지 않고 두면 만기일에 정해진 이자수익을 얻는 형태입니다. 그럼 예금별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 보통예금

      입출금이 자유롭고, 가입대상이나 예치금액, 예치기간에 제약이 없습니다.

      - 당좌예금

      예금자의 요구에 따라 예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언제든지 지급받는 예금입니다.주로 개인이 아닌 기업이 대상이며, 은행이 예금자를 대신해 수표나 어음으로 입출금을 대행해주어 예금자의 비용과 노력을 절약시켜주는 예금으로 이자나 저축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자금의 보관과 지급위탁이 주목적입니다. 

      - 정기예금

      예금자가 일정 기간을 정하여 금액을 맡기고 기간 만료일까지 환급을 받지 않는 기한부 예금입니다.

      적금이란?

      적금은 은행에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낸 다음 찾는 방법으로 정기 적금과 각종 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정기적금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액을 매월 적립하고 만기일에 약정금액을 지급받는 것입니다. 

      - 각종부금

      정기적금과 비슷하나 일정 회차 이상 부금을 내면 일정 금액을 융자받을 수 있는 권리를 줍니다.

      - 자유적금

      자유적금이란 매월 의무납입액 제한없이 자유롭게 적립하는 정기적금입니다.

      출처: https://blog.ibk.co.kr/1377 [IBK기업은행:티스토리]

      예금이나 적금에 관한 금리조회에 대한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fsb.or.kr/rateinst_0100.act

      예금과 적금 중 어떠한 저축이 더 유리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금리 투자법으로는 우선 대출은 빨리 갚고, 낙폭 컸던 성장주 위주로 눈여겨보시는 것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