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조기수축 환자와 운동 그리고 완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심방조기수축 진단을 받고 커피, 술, 담배는 전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커피는 끊은지 2주 / 담배는 6년째 / 술은 3달정도 된 거 같습니다.
가벼운 런닝머신을 걸어도 가슴이 울컥하는 느낌이 한번씩 듭니다.
그리고 음식을 먹은 후에도 울컥하는 빈도가 좀 올라가는 거 같아요.
유튜브나 자료를 보면 적당한 운동은 조기수축환자에게도 좋다고 보여지는데 계속 유산소운동을 진행해도될지 궁금하고
강도를 좀 강하게 올려도 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진행해도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심방조기수축도 완치가 되는지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심한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다고 적당한 운동은 좋은 것이 맞으며, 계속 유산소운동을 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2. 강도를 좀 더 올려보시는 것도 괜찮은데 혹시 증상이 생긴다면 즉시 중단하시길 바랍니다.
3. 웨이트 트레이닝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4. 심장조기수축은 완치가 어려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심방조기수축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에서 전기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일찍 뛰는 증상을 말합니다. 심방조기수축은 심장질환의 일종이지만 대부분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하지 않습니다. 심방조기수축 환자는 운동을 해도 좋습니다. 심방조기수축이 심하지 않은 경우, 운동을 하면 심장의 기능이 좋아지고 심방조기수축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심방조기수축이 심한 경우, 운동을 하면 심방조기수축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방조기수축이 심한 경우, 운동을 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방조기수축은 완치가 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하지만 심방조기수축을 관리하면 증상을 완화하고 심방조기수축이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심방조기수축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운동, 금연, 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심방 조기 수축은 완치되는 질환은 아닙니다.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지요. 즉 심박수가 급격하게 오르는 상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 음주도 그렇고 심리적 불안이나 스트레스도 피해야 합니다. 운동도 결국 심박수가 오르는 상황이라서 무리한 운동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