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PF방식이 인프라형태 PF방식과 비교시 자기자본비율을 더 낮게 가져가나요
아파트의 PF방식은 은행권에서 3프로형태의 자기자본을 갖고 있어도 대출을 해주는데 인프라형태 PF방식이 더 높은 자기자본을 갖춰야 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아파트PF방식은 미분양리스크가 있음에도 왜 자기자본비율을 더 낮게해서 고위험형태로 대출이 집행되나요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일반적으로 아파트 PF 방식이 인프라 PF 방식보다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아파트 PF는 미분양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담보 가치가 높고 사업 안정성 및 수익성이 높아 인프라 PF보다 자기자본비율이 낮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파트 미분양 증가와 금리 상승 등으로 아파트 PF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기관들이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는 등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파트 PF방식에서 은행권이 낮은 자기자본비율(3%)로 대출을 해주는 이유는 주택 시장의 높은 수요와 담보 가치가 안정적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아파트는 사람들이 꼭 필요한 주거 공간이라서 수요가 꾸준히 있어 미분양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반면, 인프라 프로젝트는 수익성이 불확실하고 기간이 길어서 더 높은 자기자본비율을 요구하여 위험을 줄이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파트 PF(Project Financing) 방식과 인프라형태 PF 방식의 자기자본비율 비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PF(Project Financing)는 일반적으로 자산의 수익성에 기반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자산 자체의 수익성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받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이 비교적 낮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아파트 PF의 경우, 개발된 아파트의 판매나 임대 수익을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본 부담이 적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인프라형태 PF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예: 도로, 철도, 발전소 등)의 자금 조달 방식입니다. 이 경우 프로젝트의 수익성이 일정하지만, 대규모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기간과 높은 자본 투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인프라 프로젝트는 자본 회수 기간이 길고, 프로젝트의 특성상 대규모 자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본 조달이 더 신중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아파트 PF 방식은 일반적으로 인프라형태 PF 방식보다 자기자본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 개발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자본 회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므로,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자금 조달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인프라형태 PF는 대규모, 장기적인 자금 조달이 필요하므로 자기자본비율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