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조선 인력 양성 프로젝트가 무역업계에 어떤 파급일지 궁금하네요?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가 막히자 정부가 미국 내 조선업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하네요. 조선 기자재 수출업체나 해운 물류에도 파급이 있을 것 같은데 실제 효과가 있을까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조선 인력 양성 프로젝트가 미국에서 추진되면 단순 인력 공급을 넘어 한국 조선기자재 기업에도 파급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 내 조선소가 다시 살아나면 선박 건조에 필요한 엔진, 강재, 특수 부품 수요가 늘어나고, 한국 업체가 기술부품 공급망에 참여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건조 물량이 늘면 해운 물류 수요도 확대돼 한국 선사들에게는 간접적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이 자급자족을 강화하면 한국산 수출이 제한될 수도 있어, 협력 구조가 어떻게 짜이느냐가 관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조선업 인력 양성 이야기가 미국에서 나온 건 단순히 일자리 문제를 푸는 차원이 아니라 무역 협상과도 연결된 흐름으로 보입니다. 인력이 뒷받침돼야 조선소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니 기자재 수출업체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꾸준한 수요가 생긴다는 신호가 됩니다. 다만 미국 내 생산기반이 강화되면 우리나라 조선사의 직접 수출은 줄어들 수 있고 대신 기술 협력이나 부품 공급 형태로 무게중심이 바뀔 수 있습니다. 해운 물류 쪽은 조선 발주가 늘어나면 신조선 운항에 따른 화물 수송 구조가 달라질 수 있고 물동량 확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