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에 있었던 최씨 무신정권에 대해 알려주세요.
고려 중기에 최씨 무신정권이 있었는데요.
최씨 가문이 권력을 어떻게 잡게 되었던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결국 어떻게 없어지게 된 건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고려 중기 최씨 정군은 1196년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하기 시작했습니다. 1170년 무신정변 이후 여러 무신들이 권력 다툼을 일삼았으며, 최충헌이 1196년 최고 권력자가 되었습니다. 최충헌은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국정을 총괄하였으며, 도방을 확대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우 때는 정방과 서방을 설치하여 권력을 공고히 하였습니다. 이는 최항, 최의에 이르기 까지 4대 60여년간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1170년 무신정변 이후, 여러 무신들이 권력을 잡았지만 정권은 불안정했습니다.
그러다가 최충헌이 1196년 정중부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으면서 최씨 무신정권이 시작됩니다.
그는 교정도감이라는 독자적 정치기구를 설치하고, 실질적인 정국 운영을 장악했습니다.
그로 인해 왕은 존재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최씨 가문이 가지게 됩니다.
이후 최씨가문은 3대 60년에 걸쳐 권력을 독점하다가 몽골 침입(1231~1259) 시기와 겹치며 민심이 이반되면서 혼란이 가중되었습니다.
최씨 정권은 민심과 다르게 강화를 반대하고 강화도로 천도해 항쟁을 지속하다가1258년, 문신 김준이 최의를 제거하면서 최씨 무신정권은 몰락하게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