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9.06

GDP 디플레이터 (GDP deflator)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물가수준을 측정할때 CPI 이외에 GDP 디플레이터 (GDP deflator)

본다고 하는데요

이 GDP 디플레이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학에서 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는 물가 수준의 지표로서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수치에 100을 곱한 것을 말합니다.

    명목 GDP의 풍선효과를 없애고, 실질 GDP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게 되는 모든 경제활동을 반영하는 종합물가지수를 말하는 것인데, 이 GDP디플레이터는 국내에서 생산되어지는 재화나 서비스등에 대한 가격을 반영하고 소비활동을 하게 되는 소비주체들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물가변동을 측정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지만 국가의 전체적인 물가변동을 측정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생산물의 평균가격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물가지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GDP 디플레이터가 상승할수록 그 나라의 물가수준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총생산(GDP)과 관련된 물가 지수 중 하나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한 국가의 실질 GDP와 명목 GDP를 비교하여 물가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것은 경제의 물가 변동을 이해하고 경제 성장을 조정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 / 실질 GDP) * 100"

    여기서 명목 GDP(Nominal GDP)는 현재 시점의 시장 가격에서 측정된 국내총생산으로, 물가 상승이나 하락을 반영한 값입니다. 실질 GDP(Real GDP)는 고정된 기준 연도의 가격에서 측정된 국내총생산으로, 물가 상승 또는 하락을 반영하지 않고 실제 생산량을 나타냅니다.

    GDP 디플레이터가 100보다 높다면, 현재 물가 수준이 기준 연도에 비해 상승했음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GDP 디플레이터가 100보다 낮다면, 현재 물가 수준이 기준 연도에 비해 하락했음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이다.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로서 GDP라는 상품의 가격수준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 (명목 GDP/ 실질 GDP)* 100

    GDP 디플레이터는 물가 수준의 지표에 해당하며 식은 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을 말합니당!!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