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탄소는 왜 C 4+가 되려는 경향이 없는건가요?

플루오린, 산소, 질소 등 1,2,3가는 기꺼이 음이온이 됩니다. 반대로 금속 원소쪽의 경우도 양이온으로 되려하고요. 그런데 탄소라면 안정해지기 위해 양이온 음이온 어느쪽으로도 갈 수 있을망정 왜 4+ 이온이 만들어지지 않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소는 원자 번호 6번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 구성은 2 4입니다. 이는 탄소가 4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외껍질이 가득 차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는 양이온이나 음이온으로 전자를 받거나 내어주는 것보다는 외껍질에 전자를 추가하거나 빼는 것이 더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탄소는 4+ 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탄소는 전자 구성이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원자와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탄소는 4+ 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없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탄소는 4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4+ 이온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는 매우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탄소는 4개의 전자를 잃어버리면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는 이러한 고에너지 상태를 피하기 위해 4+ 이온을 형성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