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안과

베데스다
베데스다

이런건 중심시야에 있는 맹점인건가요?

나이
30
성별
여성

동생이 맹점 테스트라고 가져와서 보여주는데 양눈 중심에서 귀쪽 방향으로 얼마 안떨어지는곳에 조그맣게 안보이는 곳이 양안 대칭 방향으로 있더군요.

이런게 맹점인건가요? 전 맹점은 저 시야 끝에 있는건줄 알았는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맹점(시각적 결손)은 시야의 중심이 아니라 눈의 망막에 존재하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점은 시신경이 망막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는 시각세포가 없기 때문에 어떤 것도 감지되지 않아요. 우리가 맹점이라고 말할 때 보통 시야의 끝이나 가장자리에 위치한 곳을 생각하지만, 실제로 맹점은 각 눈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망막의 한 지점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동생이 보여준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점이 양안 대칭 방향에 있다고 하셨는데, 이것이 맹점이 맞습니다. 우리가 중심 시야에서 보지 못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양쪽 눈 모두에서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이 맹점은 의식하지 못하고, 뇌가 이를 자동으로 보완하여 우리가 아무런 불편함 없이 시야를 인식하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동생분이 보여주신 맹점 테스트를 통해 궁금증이 생기셨군요. 맹점은 사실 모든 사람의 눈에 존재하는 자연스러운 부분입니다. 시야에서 각 눈의 망막에 있는 시신경이 모여 눈 뒷부분으로 빠져나가는 장소 때문에 시신경원판 주변에 생기는 부분이죠. 이 부분에는 빛을 감지하는 세포가 없어서 보이지 않는 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맹점이라고 부르죠.

    보통 맹점은 양쪽 눈에 대칭적으로 존재하며, 한쪽 눈으로 볼 때는 그 위치가 귀 쪽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양쪽 눈을 함께 사용하면 서로의 맹점을 보완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는 이 부분을 잘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질문자분이 느낀 '양안 대칭 방향으로 안 보이는 부분'은 자연스러운 맹점을 지적하는 것이며, 이는 정상입니다. 시야 끝에 맹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눈의 맹점이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죠.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