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28

오로라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극지방에 가면 오로라를 볼 수 있어서 극지방 가는게 제 바킷리스트 중 하나인데요

오로라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고 왜 극지방에서만 보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태양풍은 태양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으로, 지구 자기권과 충돌하면 지구의 자기장이 왜곡됩니다. 이때, 태양풍의 입자들이 지구 대기의 원자나 분자와 충돌하여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가 빛으로 나타나는 것이 오로라입니다.

    오로라의 색깔은 대기 중에서 충돌하는 입자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에너지의 입자와 충돌하면 푸른색, 녹색, 빨간색의 빛이 나타나며, 저에너지의 입자와 충돌하면 노란색, 주황색, 갈색의 빛이 나타납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권 내에서 발생하며, 지구의 극지방에서 가장 자주 관찰됩니다. 이는 지구의 자기장이 극지방에서 가장 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가 더 자주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민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에너지의 전자와 양성자로 구성돼 있는 태양풍은 보통 지구 자기장에 의해 차단되지만 그 중 일부가 자기장을 뚫고 지구의 이온층으로 유입됩니다. 지구 가까이 접근한 태양풍 입자는 자기장이 지구표면으로 향하는 극지방으로 자기장을 따라 빠르게 흘러가게 됩니다.

    이런 하전 입자들이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 원자나 질소 분자를 만나게 되면 이들을 여기(勵起, excitation; 외부에서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원자나 분자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전자가 높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하는 것)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특유의 색을 띈 빛을 발산하는 것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네온사인의 내부 기체에 따라 다양한 색의 빛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유사합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오로라를 만드는 것은 태양풍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상층대기에 있는 원자와 대기권 외곽에 있는 에너지를 띤 입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됩니다.

    지구의 경계에 도달한 대전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붙잡혀 자기극으로 내려오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 즉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 끌어당겨져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풍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하 입자들의 흐름입니다. 태양풍은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게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지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를 막아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구의 자기장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을 뚫고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구 대기권에 들어온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는 지구 대기권의 산소와 질소 원자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이 가장 강한 극지방에서 가장 잘 보입니다. 극지방은 지구의 자기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 대기권에 더 많이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극지방은 대기층이 두껍지 않아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거리가 더 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풍과 관련이 있습니다.

    높은에너지+양성자로 구성된 태양풍이 지구 대기에서 대부분 차단되지만 일부가 지구 표면으로 유입됩니다. 이 입자는 국지방으로 자기장을 따라 흘러가게되고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 원자를 만나게되면 특유의 색을 띈 빛을 발산하게되는데 이것이 오로라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네온사인과 같은 오로라 빛은 높은 진공상태에서 전기의 방출에 의해 생성된다. 그것은 태양과 지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어 진다. 오로라는 지구의 상층권 대기에 있는 원자와 분자로부터 나오는 밝은 빛이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8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입자와 지구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는 가끔 큰 폭발이 일어나며, 이를 태양폭발 또는 코로나질량방출이라고 합니다. 이런 폭발로 인해 수많은 전하를 띤 입자들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됩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태양풍'을 형성하며, 이 풍은 속도가 초당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엄청난 속도로 지구를 향해 날아갑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보호막 역할을 하여 대부분의 입자를 막습니다. 그러나 자기극지역(북극과 남극) 근처에서는 자기장이 약해져서 일부 입자가 대기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대기에 들어온 전하 된 입자들은 고도 약 100~300km 사이에서 대기 분자(산소, 질소 등)와 충돌합니다. 충돌 과정에서 전하 된 입자들은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보는 오로라의 빛입니다. 방출되는 빛의 색깔은 충돌하는 분자 종류와 고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권으로 들어오면서 대기 분자와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이 상호작용은 태양 입자들이 대기 분자의 원자나 분자를 충돌시키고, 이러한 충돌로 인해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입니다. 이 에너지 방출이 오로라를 만들어냅니다.


  • 오로라(오로라 분포)는 지구의 고도가 높은 대기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주로 극지방에서 관측되는 빛의 향연입니다. 이 아름다운 현상은 주로 북극에서는 '북극광(Aurora Borealis)', 남극에서는 '남극광(Aurora Australis)'로 불립니다.

    오로라의 원리는 주로 태양 풍(Solar Wind)과 지구의 자기장 사이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아래는 오로라가 발생하는 주요 과정입니다.

    1. 태양 풍: 태양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열과 에너지로 인해 태양 플라스마가 대기로 튀어나옵니다. 이것이 태양 풍이라 불리며, 이 풍은 태양계 전체로 퍼져 나갑니다.

    2. 지구의 자기장: 지구는 큰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자기장은 지구의 핵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회전에 의해 만들어지며, 지구 주변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3. 자기장과 태양 풍의 상호작용: 태양 풍에 포함된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때 입자들은 자기장의 선들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입자들은 지구의 극지방으로 향하게 됩니다.

    4. 대기 중의 입자 충돌: 태양 풍에서 오는 입자들은 지구의 대기와 상호 작용하게 됩니다. 대기의 고도에 따라서 입자들이 다양한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빛이 방출됩니다. 이 빛이 바로 오로라의 아름다운 빛깔로 나타나게 됩니다.

    5. 빛의 색상: 오로라의 색상은 주로 대기 중의 원자와 분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산소 원자와 분자와의 충돌로 인해 녹색과 붉은색 빛이, 질소 원자와 분자와의 충돌로 인해 파란색과 자주색 빛이 발생합니다.

    요약하자면,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에너지가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지구의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 풍에 포함된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며 대기와 충돌하면서 빛이 발생하게 되어 오로라가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