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흰등에89
흰등에8923.08.06

주식 증권 계좌에서 예수금항목에 대해서 궁금?

주식 증권 거래 계좌에세 예수금 항목을 보면 D1, D2항목이 있는데 이건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그리고 대용금이라는 말은 어딴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음날 예수금, 그 다음날 예수금을 말하니다. 주식은 체결후 정산과정에서 2일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대용금이란 주식,채권 등 자신이 투자하고 있는 상품을 평가한 금액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1, D2 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대용금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 대신, 보유 주식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1은 다음 영업일 예수금, D+2는 이틀 후 영업일 예수금을 의미합니다. 예수금은 투자 가능 금액이니 다음날 주식을 사게 되면 또 다시 D+1, D+2 예수금이 변하게 됩니다.

    참고로 현금 인출은 3영업일에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1은 영업일 기준 1일 후의 예수금, D2는 영업일 기준 2일 후의 예수금을 의미합니다. 대용금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1은 내일 예수금을 말하고, D2는 모레 예수금을 말합니다. 즉, D1은 오늘 주식을 매수하면 내일 예수금으로 들어오는 금액이고, D2는 오늘 주식을 매도하면 모레 예수금으로 들어오는 금액입니다.


    그리고 대용금은 주식을 매수할 때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대용금은 보통 주식의 전일 종가의 70%-80% 정도의 금액으로 책정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전일 종가가 10,000원일 경우, 대용금은 7,000원-8,000원 정도입니다.


    대용금을 이용하면 증거금을 내지 않고도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용금을 이용하면 미수금이 발생하며 미수금은 주식을 매수하고 대금을 납입하지 않은 금액을 말합니다. 미수금은 3일 이내에 납입하지 않으면, 증권거래소로부터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수금에서 보이는 D1이라는 단어는 D+1이라는 오늘로부터 1영업일 뒤라는 말을 하는 것이며, D2라는 것은 D+2로서 오늘로부터 2영업일뒤를 의미하는 단어라고 합니다. 대용금이라는 단어는 보유하고 계시는 주식 대신에 보유주식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의 한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예수금이 출금 되기 까지 D+2 걸리는 그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 D1,D2 까지 순차적으로 진행 후 출금이 가능해 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1은 "거래일 기준 예수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 거래일에 매수한 주식이나 기타 금융 상품에 대한 결제 예정 금액입니다. 즉, 이 예수금은 현재 거래일에 발생한 매수 거래에 대한 대금이나 결제 예정 금액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D1 예수금은 당일 거래에 사용할 수 있는 예수금으로 간주됩니다.

    D2는 "거래일 후 2일 예수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 거래일에 매도한 주식이나 기타 금융 상품에 대한 정산 예정 금액입니다. 즉, 이 예수금은 현재 거래일에 발생한 매도 거래에 대한 정산 예정 금액을 나타냅니다. D2 예수금은 거래일 이후 2일 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정산이 완료되면 이 금액을 출금하거나 다른 거래에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