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랑명의로 된 차 제명의로 돌리면 자동차보험?
제가 운전할 차를 처음 사고 자동차보험이 넘 비싸게 나와서 신랑명의로 해놓고 부부한정 같이 타게 설정해놨어요
이제 7년이 지나서 신랑이 제명의로 하라는데 자동차보험 비교해보니 아직 신랑명의로 했을때보다 두배가 되네요
신랑은 비싸도 제명의로해야 자동차보험료 떨어진다고
제명의로 하라는데 제 명의로 하는게 좋을지? 신랑명의로 해서 부부한정 해놓으면 같이 경력쌓이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으ㅡ전을 오래했어도 본인명의 자량이 없어 본인의 자동차보험을 가입한적이 없다면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처음 가입하는 조건이 됩니다 그때 본인명의로 했다면 지금은 가입경럭이 인정되고 요울도 좋아져서 보험료가 많이 낮아졌을겁니다 그동안 신랑 이름의 자동차보험에 본인의 가입경력인정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아예 처음 가입하는것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명의로 경력을 시작하면 보험회사에 따라서 무사고 경력 인정이 시작됩니다. 장기적으로 보험료 절감 가능성이 있는데요. 3 ~5년 이상 무사고 경력이 쌓이면 할인율이 높아집니다. 차량소유권도 명확해집니다. 법적 책임과 권한이 질문자님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경력이 없거나 짧으면 보험료가 확실히 비쌉니다. 일부 보험회사에서는 부부 간에도 경력 승계를 허용하지만 조건이 까다롭고 보험회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보험 명의자가 아닌 경우에는 무사고 경력으로 인정되지 않는 보험회사가 많습니다.
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선택지는 3가지입니다. 신랑 명의 유지 하면서 부부 한정으로 하는 것인데요. 그렇게 하면 보험료가 저렴하고 간편합니다. 다만 질문자님 경력 인정이 어렵고 장기적으로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선택지는 질문자님 명의로 변경하는 것인데요. 경력 시작, 장기적으로 절감됩니다. 다만 초기 보험료 부담이 큽니다. 끝으로 일부보험회사에서 가능한 경력승계신청이 있는데요. 가족관계증명서, 신청서 등이 필요할 수 있는데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일단 보험회사에 부부간 경력 승계가 되는지 확인해보시고 경력승계가 된다면 질문자님 명의로 바꾸는 것이 유리합니다. 안된다면 신랑명의 유지 부부한정으로 계속 타면서 추후 질문자님 명의 차량을 따로 구매해서 경력을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