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08.31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도 일어나나요?

의학 성분이 전혀 없는 약이라도 환자의 심리적인 믿음을 통해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라고 하는데요.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도 일어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시보 효과 자체가 뇌의 인지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뇌를 가진 동물들은 모두 적용이 가능한 확률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이 플라시보 효과를 경험한다는 정확한 매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 이외의 동물들에게도 나타납니다.

    플라시보에 의해 나타나는 뇌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반응은 실제 치료에도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의식적인 기대가 없는 동물들에게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도 일어납니다.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플라시보 약을 투여받은 실험쥐는 통증이 감소하고, 행동이 활발해지는 등 실제 약을 투여받은 실험쥐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1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주로 인간 연구에서 강조되지만, 동물들도 심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플라시보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동물들은 학습, 조건반사,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에 대한 기대와 경험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기대와 경험이 동물의 생리적 및 신경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플라시보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실험결과 동물에게서도 일어난다고 합니다.

    1970년대, 과학자들은 마우스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을 주입했습니다. 마우스 중 일부는 통증 완화제라고 말한 액체를 주입받았고 다른 마우스는 액체를 주입받지 않았습니다. 놀랍게도, 통증 완화제라고 말한 액체를 주입받은 마우스는 통증을 덜 느꼈습니다. 이 연구는 플라시보 효과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플라시보 효과는 주로 인간에게서 관찰되는 현상으로, 인간의 심리적인 요인이 실제 생리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동물의 경우에도 비슷한 행동이나 반응이 있을 수 있지만, 인간처럼 의지적이거나 상상력을 가진 정도가 아니기 때문에 "플라시보 효과"라는 용어로 직접적으로 설명되기는 어렵습니다.

    동물들은 각자의 생리학적인 반응과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환경과 상황에 대한 적응으로 발생합니다. 인간과는 달리 동물들은 상상력이나 의지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플라시보 효과와 같은 개념은 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동물들도 환경 변화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라 생리적인 반응이나 행동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체계적인 생리적인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지, 플라시보 효과와 같이 의지나 상상력으로 유발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란 의사가 효과 없는 가짜 약 혹은 꾸며낸 치료법을 환자에게 제안한 후 환자의 긍정적인 믿음으로 인해 병세가 호전되는 현상으로, 심리적 요인에 의해 병세가 호전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가짜 약 효과라고도 합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해외에 있는 한 제약회사에서 간질 증세가 있는 경찰견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진짜 약을, 다른 한쪽에는 성분이 없는 약을 주었다고 합니다. 이후 경찰견들에게 곧 나을 것이라고 계속 이야기를 해준 결과 진짜 두 마리 모두 병이 깨끗하게 나았다고 합니다. 다른 사례로 시베리아에 사는 햄스터를 관찰했을 때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났는데, 연구진에 의하면 햄스터들에게 지금이 겨울이라고 믿게 하면 동면 상태와 비슷한 메커니즘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