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영국이 fta 타결됫다는데 주요 내용이 무엇인가요
인도와 영국이 fta 자유무역협정을 타결했다고 하던데 브렉시트 이후에 영국이 인도와 어떤 협력을 하도록 협정문이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인도와 영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정식 명칭: 인도‑영국 포괄경제무역협정, CETA)은 2025년 7월 24일 정식 서명되었으며, 2025년 5월 6일 원칙적 합의가 이루어진 후 체결된,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가장 중요한 무역 협정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FTA 체결로 인해 양국 간 교역은 2030년까지 약 1200억 달러 규모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약 13.2%에 이를 것으로 BDO India LLP는 전망하고 있고 영국 정부의 추산에 따르면, 이번 자유무역협정은 2040년까지 연간 교역규모를 344억 달러(255억 파운드) 추가로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합니다.
협정은 양국 간 상품과 서비스 무역, 투자, 노동 이동, 디지털 교류 및 정부 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담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이 인도와 맺은 첫 대형 자유무역협정이라 그런지 내용이 꽤 촘촘하게 짜여 있었습니다. 상품에 붙는 관세를 깎는 것만이 아니라 투자 디지털 전문직 인력 이동까지 다 포함돼 있었습니다. 인도 입장에서는 유럽 G7 국가와 처음 맺는 포괄적 FTA였고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처음으로 이 정도 깊이의 협정을 맺은 셈입니다. 핵심은 영국 수출품의 91퍼센트가 인도에서 무관세 대상이라는 점인데 단 일부는 5년 이상 걸쳐 순차 철폐되는 구조였습니다. 반면 인도는 자국 농산물이나 전략산업은 예외로 남겨두고 대신 주요 수출품엔 영국 내 관세가 거의 없어지는 효과를 확보했습니다. 디지털통상 쪽 조항도 흥미롭습니다. 서버 현지화 의무를 막고 데이터 이전도 허용하는 식이라 영국 기업들 입장에선 진입장벽이 크게 낮아진 셈입니다. 원산지 증명도 간소화해서 소규모 수출자나 B2C 전자상거래 기업에게 특히 유리하게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인도와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양국 교역 확대를 위해 fta를 체결했고, 이 협정은 단순한 관세 인하를 넘어 서비스와 투자, 인력 이동까지 폭넓게 포함됩니다. 인도는 영국 위스키와 자동차 관세를 단계적으로 낮추고, 영국은 인도산 의류와 보석,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철폐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영국은 인도 수입품 대부분에 대하여 관세를 철폐하고, 인도는 영국에서의 수입품에 대하여 대부분의 물품에 대하여 철폐하지만 기간을 두고 천천히 철폐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양 국가간 무역 및 교류를 위하여 서비스, 디지털 교환에 대하여 합의를 하였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제한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종합하였을때 양 국가간의 관세가 낮아지고, 교역이 쉬워지며 추가적으로 무역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