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전시가에서 음보율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음보율은 끊어읽는 또는 숨을 쉬는 단위잖아요~ 이 음보율이 고려시대 고전시가에 있었는데요~ 고려시대 고전시가에서 음보율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음보율'은 시의 운율 중에 하나이고, 시를 읽을 때 끊어 읽기의 단위 입니다. 보통은 3음절이나 4음절이 하나의 끊어 읽기 단위가 되어 음보율을 이룹니다. 고려가요는 주로 3음보의 음보율을 가지고 조선시대 시조는 주로 4음보의 음보률을 받는 것이 원칙입니다.
3음보: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아리랏다(고려가요 청산별곡)
4음보: 추강에/ 밤이드니/ 물결이/ 차노매라(월산대군 시조)
이렇듯 고려가요의 중심 음보율은 3음고 시조는 4음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