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0.05

고려시대 음악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고려시대에도 음악 장르를 포함해 인기있는 음악이 있었을거 같은데 어떤 음악이 인기를 끌었으며 그사회적 배경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음악은 대부분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며, 국가의 의식이나 행사, 예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대표적인 고려시대 음악 장르로는 악장(악기 연주), 가야금 연주, 판소리, 판소리 노래 등이 있습니다.악장은 고려시대 음악의 핵심이었으며, 궁중에서 연주되는 악기 앙상(악기 앙금과 비슷한 형태)을 사용하여 연주되었습니다. 악장은 주로 국가의 의식이나 행사에서 연주되었으며, 음악적인 특징으로는 우아하고 정교한 선율과 조화로운 화음이 특징입니다. 가야금은 고려시대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 중 하나로 가야금 연주는 주로 궁중에서 즐겨들었으며, 고려시대 음악의 대표적인 형태 중 하나입니다. 고려시대에는 판소리라는 전통적인 민요 장르도 발전했고 판소리는 이야기를 노래로 풀어내는 형식으로, 주로 농민들 사이에서 전해졌습니다. 판소리는 고려시대 사회의 상황과 감정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고려시대 음악은 궁중에서 연주되는 악장과 가야금 연주, 그리고 민요 장르인 판소리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초기 신라의 음악을 거의 그대로 답습했으나 예종 이후 중국의 각종 음악이 유입됨에 따라 당악, 향악, 아악 등 세가지로 구분되고 각각 독자적인 발전상을 보입니다.

    향악은 고려사 악지 등에 속악이라는 이름으로 동동, 무애, 서경, 오관산 등 수십곡이 전하며 이들 곡은 거문고, 비파, 가야금, 대금, 장구 등 향악기로 연주되었으며 대악후보, 시용향악에 의하면 향악은 선율이 곱고 아름다우며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것이 많다고 하며 이들 향악곡은 오늘날 거의 전승되지 못하고 끊어졌으나 풍입송, 만전춘, 서경별곡 등 일부 곡은 근세 조선의 제례악에 편곡되어 지금도 연주되어집니다.

    아악은 중국 송나라 궁중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던 제사음악으로 한국에는 1116년 대성아악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지며, 그후 원구, 사직, 태묘, 선농 등 궁중의 제사와 국가적 연향에 사용되었습니다.

    조선 호 이 음악에 쓸 악기가 부족하고 악기끼리 조율도 맞지 않는 등 음악적으로 미비한 점이 드러나자 세종 때 박연 등이 원제인 중국 주나라 때 아악에 가깝게 재현했습니다.

    편종, 편경, 축, 어와 같은 아악기로 연주되며 12율 4청성을 사용한 7음음계 구성이고 주음으로 시작해 주음으로 마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악은 원래 당나라 음악이라는 뜻이지만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까지 포함되며 고려사 악지 등에 석노교곡파, 만년환만, 억취소 등 수십곡이 전하며 비파, 공후, 쟁, 적, 지 등 당악기로 연주되었습니다.

    사악은 대개 환두형식으로 규칙적인 장단을 가졌고, 16장단마다 규칙적으로 박이 들어가는 특징을 지녔으며 향악곡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전승되지 못하고 보허자, 낙양춘의 두곡만이 거의 향악화된 채 지금까지 전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