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0.04

고려시대에 문학적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고려시대에도 문학적으로 많은 발전을 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문득 고려시대 문학의 특징은 무엇이고 어떤 사회적 배경이 기틀이되어 문학적 특징으로 발전 되었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문학은 한문학과 국문학으로 나뉘며, 시가문학에서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이 분립되었습니다. 한문학은 고대문학과 근대문학의 교량적 구실을 하는 과도기 또는 발전적 계승기로 분류됩니다. 국문학은 향가문학, 설화문학, 시조 등이 있습니다. 향가는 '보현십종원왕가’를 마지막으로 소멸되었으나, 향가의 형식이나 표기법은 쉽게 소멸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향가의 전통은 그 뒤에 현종이 신하와 같이 현화사에 나가 사뇌가 12수를 지어 현판에 새겨 걸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시조는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통합을 시도한 국민문학으로 분류됩니다.


    고려시대 문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한문학의 융성 : 고려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문학이 발달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과거 제도가 시행되면서, 한문학이 더욱 발전하였습니다.

    2) 민중문학의 발전 : 고려 후기에는 몽골의 침입과 내란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에 빠지면서, 한문학과 함께 고려가요와 같은 민중문학이 발전하였습니다.

    3) 문체의 다양화 : 고려시대 문학은 시, 소설, 가전체, 시조 등 다양한 장르로 발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문학은 한문학의 성장, 향가문학의 소명, 조선시대까지 구비문학으로 전승된 고려가요의 등장으로 고려 왕조에서는 건국 직후인 10세기 중반부터 관리 등용 방식으로 한문 중심의 과거제도를 시행하는데, 이 과거제도에서 중국의 경서, 사기를 중심으로 시문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한문 글쓰기를 폭넓게 요구하자 한문은 귀족층과 신흥 사대부 층의 필수적인 교양물이 됩니다.

    그 결과 고려시대 한시와 문장의 창작이 왕성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한문학 작품을 많이 창작하게 되며, 고려시대의 사대부들은 한문투로 노래를 지어 부른 경기체가 라는 독특한 시가 형태를 창안하기도합니다.

    이 새로운 시가 양식을 통해 사대부층이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해 오면서 한문만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실생활의 감정을 그려냈습니다.

    한문 서사양식으로 등장한 가전문학은 어떤 사물을 역사상 생존했던 인간처럼 의인화해 그 생애를 기록하고 있어 의인체문학이라고도 하며, 고려가요는 각각의 작품들이 여러 개의 연으로 구성, 각 연마다 여음구가 붙어 하나의 양식이 되었으며 문자에 정착되지 못한 채 구전되면서 민중들 속으로 들어가 민요로 변한것과 일부는 궁중악으로 전승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의 문학은 고려전기와 고려후기로 나뉘어 특징이 발현되는데요, 고려전기에는 '문벌 귀족'이 문학 담당층이었으며 삼국시대와 마찬가지로 향가를 향유하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려후기 때는 많은 것이 바뀌었는데요, 우선 고려후기에는 '신흥 사대부'가 나타나 주요 문학 담당층이 되었으며 향가 대신 '한시'와 '속악 가사', 그리고 '시조' 등을 향유하였습니다. 고려시대는 한국 문학의 역사 속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로, 뛰어난 문학적 업적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