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23.08.30

각 국가별 지급준비율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지급준비율은 얼마인가요?

나라마다 상황에따라 다를텐데요

주요 경제상위국가들의 지급준비율이 올마나되는지

알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법정 지급준비율은 7%입니다.원래 영국에서 시작된 지급 준비율은 10% 정도로 출발 했습니다. 지금은 다른 대부분의 국가 에서도 8-10% 정도의 지급 준비율 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지급 준입율이 7%이며

    미국과 같은 경우 0%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체 예금액 대비 지급준비금의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하며, 대한민국의 경우 법정 지급준비율은 7%입니다. 중국도 7%,미국은 ~10%,유럽은 ~2%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 미국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은 예금의 일부를 지급준비율로 요구합니다. 현재 미국의 지급준비율은 10%입니다.

    - 유럽 연합: 유럽 중앙은행(ECB)은 유럽 국가들의 지급준비율을 개별적으로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지급준비율은 0%입니다.

    - 일본: 일본은행은 예금의 일부를 지급준비율로 요구합니다. 현재 일본의 지급준비율은 0.1%입니다.

    - 중국: 중국 인민은행은 예금의 일부를 지급준비율로 요구합니다. 중국의 지급준비율은 중국 인민은행에 의해 조정되며, 최근에는 약 12.5%입니다.

    지급준비율은 국가별 중앙은행의 정책에 따라 다르며,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급준비율을 7%로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지급준비율을 0%로 유지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비율을 말한다. 흔히 줄임말로 지준률이라고 불린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 8월 30일 기준 중국, 미국, 일본, 한국의 지급준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7.8%

    미국 0%

    일본 0.8%

    한국 7.0%

    지급준비율은 중앙은행이 보유한 현금 및 예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지급준비율이 높을수록 중앙은행은 통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여력이 커집니다.

    일본의 지급준비율은 0.8%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일본의 지급준비율이 이렇게 낮은 이유는 일본은 금융 위기 이후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