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1

내연기관에 들어가는 반도체가 200개가 넘는다는데 전기차는 더 많이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현세대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반도체가 200개정도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이런것들이 발전하면 반도체 적용수가 많이 늘어나겠죠?

반도체 시장이 어렵다고 하는데 미래의 먹거리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5.11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내연기관과 전기차는 원리와 구조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반도체의 개수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내연기관은 연료를 연소시켜서 작동하며, 그 동안 전기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반도체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반면, 전기차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하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와 관련된 전자제품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기차에는 내연기관보다 훨씬 많은 반도체가 사용됩니다.

    전기차의 경우, 전자 제어 시스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충전 시스템, 전기 모터 등 여러 부분에 반도체가 사용됩니다. 또한, 전기차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많은 반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차종에 따라 사용되는 반도체의 개수도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훨씬 많은 수의 반도체가 들어갑니다.

    전기차에는 600~1,000개의 반도체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는 내연 기관 차량 한 대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수보다 훨씬 많습니다.

    전기차는 엔진 대신 전기 모터로 대체되면서 반도체가 차량 구동 전반을 좌우하는 데다, 인포테인먼트 등 각종 편의 사양의 강화로 더 많은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것이죠.

    그리고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이보다도 많은 2,000여개의 반도체를 필요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