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과거 민간신앙에서 측신은 왜 생기게 된건가요?

민간신앙을 보면 측신이라 해 변소의 신으로 알려져있는데

왜 변소에 신을 두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하네요 당시 시대 배경으로 인한 듯 한데

이유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측신은 제주도 문전본풀이에 그 유래가 나타나는데, 집안의 각처를 관장하고 있는 신들의 형성유래담인 이 신화에 의하면, 남선비의 첩인 노일제대귀일의 딸은 본부인을 죽이고 그의 일곱 아들까지 죽이려다 흉계가 드러나 측간으로 도망가 목을 매어 죽어 측도부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본부인 조왕 주1과 시앗인 측도부인은 원수간이라 하여 부엌과 측간은 멀리 짓고, 측간의 돌멩이 하나, 나무 하나라도 부엌으로 가져오지 않으며, 부엌의 물건 역시 측간에 가져가지 않는 관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측신은 옛 한옥에서 부엌과 화장실이 거리를 두고 있는 것도 정실과 측실의 대립관계는 물론 음식을 만드는 곳과 불결한 화장실과의 대비관계와도 연관지어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간신앙에서 측신각시는 늘 긴 머리카락을 발밑에 감싸고 세고 있다가 사람이 갑자기 변소에 들어오면 깜짝 놀라 세던 머리카락을 사람에게 뒤집어 씌운다고 합니다. 머리카락에 씌어진 사람은 병을 앓게 됩니다. 이 측신각시는 놀라서 화가 나면 무당이 굿을 해도 잘 풀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측신은 민간신앙에서 뒷간을 지킨다는 여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