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부피가 커지는이유
보통 모든 액체는 고체가 될때 원자와 원자 사이의 인력이 줄어들어 가깝게 형성되서 모양을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물은 왜 얼음이 되면 부피가 더 커지는 것 일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고체가 될 때에는 수소결합이라고 하는 특별한 결합을 하여 결정을 이룹니다.
즉, 기름이 얼때 켜켜히 쌓여서 빈틈없이 고체화가 되는것과는 달리,
물 분자는 특별한 결합을 통해 내부에 빈 공간을 만들어 부피가 커집니다.
그래서 기름의 고체는 바닥에 가라앉습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액체에서 고체가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것은 물의 특이한 특징이며, 이는 물이 수소결합을 입체구조로 만들게 되면서, 고체에서 물 분자간의 거리가 더 멀어진 상태로 안정화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물은 액체에서 고체인 얼음이 될 때 수소결합을 하게 되는데 수소결합은 육각형 구조를 지닙니다. 이 때문에 분자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물의 밀도가 4도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밀도가 크면 부피대비 질량이 크다는 뜻인데,
물이 4도에서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이때 아래쪽에 있던 덜 차가운 물이 위로 올라가며 순환이 발생합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어 항상 아래쪽에 더 차가운 물이 존재하게 되고
아래쪽부터 물이 얼고 나중에 표면까지 얼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