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때 일본군이 계속 북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적진에 들어올수록 보급이 힘들어지는데 임진왜라때 전쟁 발발이후 일본군이 주변지역을 장악하면서 북진하지않고 보급에 대한 고려없이 신속하게 북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신들이 이기리라는 강력한 확신이 있어서 그랬을 겁니다 ㅎㅎ
하지만 실패하게되죠
왜군 = 계속북진.
명나라= 명나라장수 조승훈이명군을 이끌고압록강을 건너와 조선에파병.
명나라군대 3천명,조선군대2천면 고니시유키나카의군대를 막기위해출병
고니시유키나카의매복에 대패 =대패.(전멸)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풍신수길(豊臣秀吉)은 임진 왜란 당시 조선을 거쳐 명나라에서 인도까지 나아가는 것이 목표였기에 명나라가 일본군을 막아내자, 풍신수길은 조선을 공격하기로 결정한 것 입니다. 그러나 임진 왜란 당시 계속 북진을 한 이유는 평양에서 신의주로 피난간 선조를 잡기 위한 이유도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조선은 왜구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상을 하러올 때 대표가 임금님께 문안을 드리라고 했는데 어떻게 하면 빨리 문안인사를 드리고 자기나라로 돌아갈까 궁리를 하다가 지름길에 지름길을 알게 되었고 막상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 지형지물에 익숙한 놈들이 빠른 속도로 진군하여 한양을 접수할 생각을 했던 것입니다. 이런 이유가 없었다면 우린 더 곤란한 지경에 이를 수도 있었습니다. 빠른 진군으로 인해서 보급문제가 발생했고 이순신장군이 보급로를 차단함으로써 우리가 왜구들을 물리칠 수 있었던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