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존 듀이 사상과 업적이 궁금하며, 오늘날 교육에도 유효한지요?

존 듀이 사상과 업적이 궁금하며, 오늘날 교육에도 유효한지요?

실험학교, 실용주의 등으로 유명한데, 지금 유투브 세대한테도 통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교와 사회(1899)', '민주주의와 교육(1916)'에서 존 듀이의 교육 사상을 알 수 있는데, 그에 따르면, "교육이란 경험의 끊임없는 개조(改造)이며, 미숙한 경험을 지적인 기술과 습관을 갖춘 경험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라 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시키거나 반대로 학생들의 자발성에만 의존하면 불충분함으로, 여러 가지 경험에 참여시킴으로써 창조력을 발휘시킬 수 있는 계획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하여 학교는 현실 사회의 모델일 뿐만 아니라, 사회개조의 모체가 될 수 있는 이상 사회로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습자의 상황과 사회적 맥락을 생각하지 않고 정제된 지식을 단순히 주입시키는 것은 죽은 교육으로 비판했고 교육은 실제 생활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생활에 실용적 측면에서 실제로 도움이 되어야 함을 주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종래의 교사 중심적이고 교과 중심적인 교육이론을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소통 중심의 교육이론으로 바꾸었으며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이론적으로 주도해 미국 사회와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는 오늘날 교육에 꼭 필요한 요소들로, 단순한 주입식 교육에 대한 여러 문제가 드러나는 시점에서 유효한 교육법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상은 과학적 탐구의 도구주의적 관점을 사회, 도덕, 정치 영역에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프래그머티즘의 철학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환경에 반응하며 이러한 인간의 반응은 다시 환경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인간의 지식, 이론, 학문 같은 것들은 모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도구로서 발달한 것이라고 듀이는 주장합니다. 현시대에도 동일하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듀이의 사회교육의 관점은 맥밀런의 유아교육에 대한 관점과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어린이들의 환경은 가정에서 학교와 사회로 확대되어야 하며, 어린이의 성장발달을 위해 더 자유롭고 풍부한 인간 접촉과 상호 작용 그리고 사회적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실용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가요, 철학자이며, 교육자인 듀이는 1859년 미국 버몬트주 벌링턴에서 태어났다.

      15세 때 고등학교 졸업, 벌링턴 시에 있었떤 버몬트 대학에 입학하여 이곳에서 그리스어, 라틴어, 수학, 자연과학을 배웠다. 생리학에서는 영국의 다윈주의장니 헉슬리의 교과서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그 후 듀이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졸업 후 한동안 펜실베이니아의 고등학교에서 라틴어, 대수, 자연과학을 가르쳤으며, 또 초등학교 교사로도 있었다.

      1882년에 존스 흡킨스 대학교의 대학원에 진학하여 여기서 저명한 교수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는데 그것은 곧 그의 철학 및 교육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스탠리 홀로 부터는 심리학을, 허버트 아담스로부터 역사를, 그리소 퍼어스와 모리스로부터는 철학을 배웠고, 2년 후에 학위를 받았으며 미시간 대학교의 철학 강사가 되었다.

      이어서 미네소타 대학교의 철학교수, 이어서 미시간 대학교의 철학교수로 전임하였다. 1894년 35세 때 시카고 대학교 철학 주임교수로 초빙되었고, 1902년부터 1904년까지는 교육학부장으로 있었다. 시카고 대학교 재임 10년 간의 그의 교육상의 연구와 실험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하였다.

      1986년에 그는 일부 학부형의 지원하에 소규모의 초등학교를 대학부속학교로 개발하였다. 이것이 바로 유명한 '실험학교'(The Laboratory School)로서 흔히 '듀이 스쿨'로 불렸다. 듀이 스쿨은 대학으로부터의 원조도 약간 있었으나 그보다는 후원자와 친구들의 지원하에 7년 반 동안 계속되었다. 이 학교의 지도를 통해서 얻은 경험은 그 후 듀이의 여러 저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00년대 초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요구는 유아학교와 유치원의 설립을 촉진했고, 발전시켰다.

      1920년대부터는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운동은 유치원과 영아학교의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듀이는 학교가 사회적 상황에 적응해야 함을 주장하고, 학교와 생활과의 관계, 학교에서 어린이들의 발달과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어린이들을 집단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매우 독특한 개성적 존재로 다루어야함을 강조하였다.

      1930년 이후에는 컬럼비아대학 명예교수가 되었다. 그는 처음에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았으나, 차차 W.제임스의 프래그머티즘에 끌려, 이것을 발전시킴으로써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 또는 인스트루멘털리즘(도구주의)의 입장을 확립하였다.

      그의 《논리학적 이론의 연구》(1903) 《실험적 논리학 논문집》(1916) 《사고의 방법》(1933) 등에 의하면, 모든 사고(思考)는 혼탁하고 불확실한 상황을 명확한 상황으로 개조(改造)하는 노력, 다시 말하면 ‘탐구(探求)’인 것이다. 관념이란 이를 위한 실험적인 가설(假說)이며 도구이다.

      예를 들면, 처음에는 무엇인지 모르는 것도, 이것은 오렌지의 일종이 아닐까 하고 잘라 보고 맛봄으로써 오렌지라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실험적인 가설로서의 관념은 상황을 개조하기 위한 도구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칼의 좋고 나쁨이 잘 드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되듯이, 관념의 좋고 나쁨(진위)은 상황을 개조할 수 있는지의 유효성(有效性)에 의하여 판정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입장에서, 논리학은 모든 분야에서의 탐구 규범과 생차를 분명히 함으로서 앞으로의 탐구를 보다 더 유효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논리학―탐구의 이론》 (1938)을 저술하였다. 또한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에 의하면, 경험은 인식(認識)의 한 형식일 뿐만 아니라, 반성이 가미되기 전에 느껴지며 살아 있는 것으로서 널리 해석된다.

      인간생활은 혼탁하고 불확정(不確定)한 경험에서 통일적인 경험으로 이행하는 리드미컬한 움직임에 의해서 성립되었다. 전자에서 후자에 이를 때 우리에게는 새로운 의미와 충족감이 주어진다. 이러한 이행(移行)의 달성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적인 작용이라고 그는 생각하였다.

      교육에 대해서는 《학교와 사회》(1899) 《민주주의와 교육》(1916)에 의해서 그의 사상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르면, 교육이란 경험의 끊임없는 개조(改造)이며, 미숙한 경험을 지적인 기술과 습관을 갖춘 경험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시키거나, 반대로 학생들의 자발성(自發性)에만 의존하면 불충분하므로 여러 가지 경험에 참여시킴으로써 창조력을 발휘시킬 수 있는 계획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일을 위하여 학교는 현실사회의 모델일 뿐만 아니라, 사회개조의 모체가 될 수 있는 이상사회로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92세라는 그의 생애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었고, 미국이 최대강국으로 부상한 시대였다. 그러나 독점자본주의의 발전으로 자유민주주의의 이상이 무너져가는 시대이기도 하였다. 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여 제퍼슨과 링컨의 고전적인 이상을 새로이 개조하고, 서민의 경험을 미국의 프래그머티즘에 의해 소화하여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출하여 세계 사상계에 기여하였다.

      1932년 ‘전국교육협회’ 명예회장, 1939년 중국에서 제이드 훈장, 1949년 칠레에서 메리트 훈장을 받았고, 터키 ·러시아 등을 방문하여 교육혁명을 지도하였다. 1946년 87세에 42세인 로버타와 재혼, 1952년에는 뉴욕주(州) 자유당 명예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정치적 지도자들은 그의 이상을 배반하고 힘과 금력으로 전세계를 지배하려 하였다. 여기에 그의 사상의 비극적인 성향이 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능심리학을 주창하였으며, 미국의 학교 제도에 막대한 영향을 준 진보주의를 이끌었고, 자유주의를 지지하였다. 듀이의 교육 사상은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하였다rh gkqslek. 듀이에 따르면 성공적인 교사는 어린이들의 지적인 성장을 도모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열정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그의 직업이 다른 전문직에 비해서 더 스트레스가 많고 근무시간이 길지만 경제적인 수입은 적지만 이런 모든 것들은 학생들에 대한 그의 진심어린 애정과 공감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듀이는 스트레스 요인들과 요구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정신력은 교사에게 아주 중요하다고 했는데 학생들이 교사가 진심으로 그들을 위해 가르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행실은 어린이들이 배움과 지적 성장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장애물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교육적인 과정에 더 참여하고 지식에 대한 호기심을 발휘하길 바란다면, 교사는 그들 스스로 학생들에게 어떻게 반응 하는지와 가르치는 것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과거나 현재의 학생들에게도 동일 하게 적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