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의 갱신형 특성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실손보험의 갱신형 특성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갱신 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의 갱신형 특성은 나이와 손해율, 의료비 증가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액 의료비 청구가 많을 경우 보험료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의 갱신시 보험료 인상은 소비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됩니다.
갱신보험료는 피보험자의 나이증가,예정위험률,의료수가 변동 등의 사유로 갱신전보다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병원 이용횟수가 늘어나나 소득이 줄어든 연령대는 부담을 느낄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판매되는 실손의료비는 모두 갱신형 상품입니다.
보험료를 갱신하는 경우 갱신시점 연령 및 위험률을 다시 적용해 산출되므로 보험료가 인하되거나 인상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실손의료비보험은 모든 보험사가 갱신형으로만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추후의 손해율을 예측이 불가하기 때문입니다.
갱싱시 보험료의 인상 요인으로는 나이 반영과 손해율 초과로 인한 보험료의 인상은 불가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보험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실비는 기본적으로 4세대를 예로 들면 급여에 대한 부분은 매년 오릅니다.
즉, 가입자의 나이가 증가할 수록 그에 따른 손해율을 감안하여 증가를 합니다.
그리고 비급여의 경우 기존 앞선 세대와는 다르게 계약 시점부터 1년간 비급여에
대한 보상이 100만원을 초과하면 다음 갱신 시점에 인상폭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런 부분이 가입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사시 실손보험료의 아상은 보험사의 전체손해율에 따라 정해지며 세대별 실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4세대실비는 3대비급여청구금액에 따라서 개인할증이 됩니다 고객에게는 큰병이나 큰 의료비에 도움이 되어 꼭 필요한 보험이지만 과잉진료나 과도한 비급여치료등으로 전졔 손해율이 높아지는 요인이 됩기도 개인할증이 되는 요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은 갱신형상품만 판매중이고 보험금 청구가 많을때 갱신시 보험료 할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