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야무지게 머거야지
야무지게 머거야지

방형구 법을 이용해서 피도를 어떻게 구하나요?

피도에서 특정 종의 점유 면적이 뭔지를 감을 못 잡겠습니다...ㅠㅠ

만약 방형구가 1m×1m=1m²의 면적을 가지고 있고 (칸은 총 100칸), 민들레가 각각 다른 칸에 1, 1, 1, 2, 2, 3으로 분포해있을 때 피도가 2라는데..

면적은 알겠는데 점유 면적이 뭘 뜻하는지를 모르겠네요ㅠ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방형구법을 이용한 식물의 피도는 전체 조사 면적에서 특정 종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때 점유 면적은 특정 종이 방형구 내에서 차지하는 칸 수를 의미합니다. 예시에서 민들레는 총 10개 칸을 차지하고 있고, 방형구는 100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민들레의 피도는 10%입니다. 하지만 피도 계산 시에는 칸을 덮고 있는 정도에 따라 1(3/4 이상), 2(1/2~3/4), 3(1/4~1/2), +(1/4 이하)로 세분화하여 계산하며, 해당 예시에서는 민들레가 차지하는 칸의 수를 모두 합하면 10이 되어 피도는 2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방형구법'이란 일정한 면적의 구획을 정하여 그 안의 생물종과 개체 수를 조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방형구법의 종류로는 6가지가 있으며 밀도, 빈도, 피도, 상대밀도, 상대빈도, 상대피도입니다. 이때 피도는 특정 종의 점유면적을 전체 방형구의 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점유면적이란 특정 종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의미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