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센백신 접종 이후로 신체가 급격히 노화된듯한 증상
저는 현재 36세 남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얀센백신 접종 이전과 이후 똑같은 생활패턴에서 완전히 다르게 느껴지는 신체 반응 때문에 걱정이 많은 상태입니다.
얀센백신을 접종한지 2달이나 지났것만 여전히 몸의 면역력이 심각하게 떨어진 상태로 회복이 되지 않아 요즘같은 환절기에 일교차가 크면 재채기에 콧물에 몸이 춥고 감기 걸릴 것만 같은 상태가 오래갑니다. 물론 백신 접종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었구요.
그리고 저는 테니스를 즐겨하는데 보통 2시간 연속으로 게임하는 것은 허다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1시간만 해도 코트에 서 있으려면 다리가 후들후들 떨려옵니다. 더 심각한 것은 운동이 끝나고 집에 돌아왔을 때 정강이뼈가 아프고 엘보처럼 팔이 아프고 심지어 관절도 군데군데 아파옵니다. 이 증상이 오래 가지는 않고 하루가 채 지나기 전에 회복이 되니 그려러니 하지만 제 입장에서는 정말 너무 억울하고 불안한 상태입니다..
병원에 방문해서 이런저런 검사를 받고 의사들에게 백신 접종 이후 상태가 이렇습니다 라고 아무리 어필을 해봐도 콧방귀나 낄 뿐입니다.. 진짜 귓방맹이 한 대씩 날리고 싶은 태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몸 전체가 급격히 노화가 진행되어서 면역력, 골밀도, 체력 등이 심각하게 떨어진 상태로 느껴지는데 마치 60대 노인인 것처럼.. 그러니 조금만 무리를 해도 온몸이 쑤시는거 아닐까요...
저만 상태가 이럴 것이라도 생각하지 않는데 경험 있으신 분들 댓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심한 또한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에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일반적으로 생기는 부작용에는 발열, 두통, 근육통, 기침, 콧물, 코막힘 등 몸살기운이 있을 수 있고 사람에 따라 관절통도 동반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주사를 맞은 부위의 국소 발적이나 붓기 통증이 수일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겨드랑이 림프절염 때문에 겨드랑이 통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졸리거나 피로감만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부작용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게 다른 정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부작용입니다. 몇일 지켜보셔도 무방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접종하고 나면 몸에서 항체생성을 위해서 면역세포의 활동으로 인해서 열이 오르거나 근육통등의 느낌이 들 수 있어요.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지는경우가 많습니다.
만성피로등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백신에의해라기 보다 다른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을 백신 접종 후의 이상반응으로 보기에는 연관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호소하시는 증상에 대해 먼저 해당 진료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은 아닌지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접종 후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후기 면역반응중에 접종 2주 이후 수술부위의 불편감 통증, 평소 염증이 있었던 관절의 부종이나 간지러움 발적, 피부의 두드러기 발진등이 있습니다. 면역반응과 관계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접종으로 발생된 전신적인 면역반응이 평소 약했던 부분을 자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이 도움이 되고 차후 접종에도 이상이 없는 정상 면역반응중 일부라고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상 가능한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다만 사람마다 면역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증상도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반응으로 생각됩니다.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접종을 하게 되면 접종부위가 부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흔한 부작용은 몸살 과 열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국소적으로 넘어가니까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혈전증과 심막염 심근염이 있는데 매우 드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백신 부작용 증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접종후, 접종부위 부종이나 혈종, 통증, 근육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화이자,모더나의 경우 드물지만 심근염, 심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4일안에 보통 증상이 나타나며, 빈맥, 호흡곤란, 흉통 등이 생긴다면 신속히 병원으로 방문하셔야 합니다. 보통 백만명당 3.5명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8-29세 남성은 발병율이 더 높은데, 100만명당 24.3명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젊을 수 록 보통은 면역활동이 강하기 때문에, 백신접종시 부작용이 더 심한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때는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2.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접종 후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4.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5.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따라서 현재 증상으로 보아 의사의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빠른 시일내로 병원 방문이 필요해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다음과 같은 이상 반응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2.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접종 후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4.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5.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따라서 병원 방문 후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해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의 부작용 빈도는 독감 백신의 부작용 빈도보다 약간 높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공포감이 조성되어 있는데, 전 국민의 관심이 코로나 백신에 몰려 있기 때문에 뉴스 보도 빈도가 늘어난 데 대한 단순한 노출 증가로 판단됩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와 모더나 RNA 백신 모두 다른 백신들과 비슷한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백신 접종 후 열감, 오한, 근육통, 관절통, 두통 등의 전신 반응 및 주사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등의 국소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압 저하나 호흡 부전을 동반한 아나필락시스 반응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모두 백신 부작용은 주로 2회 차 접종 후 많이 발생했습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2회 차 접종 후 16%가 발열, 26%가 두통, 38%가 근육통을 호소했고 모더나 백신도 유사하였습니다.
장기적인 합병증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지만, RNA 백신은 새롭게 시도되는 종류의 백신이기 때문에 장기 합병증 발생에 대해 추적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직까지는 만성 질환자에서의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가 많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