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8.11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게되면 어떻게 되나요?

헌혈을 할때 혈액형에 따라 받아서 보관하여 긴급할때 수혈용으로 활용하잔아요..

그럴리는 없겠지만 혹시 수술하거나 긴급하게 피를 수혈해야 할 경우에 혹시라도 A형인 사람이 AB형 피를 수혈받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가솔린 엔진에 경유를 넣거나 디젤엔진에 가솔린을 넣는 실수 같은...

본래의 혈액형과 다른 혈액을 수혈받게되면 사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이 다른 혈액을 수혈받게 되면 적혈구가 파괴되어 용혈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혈성 수혈 부작용은 발열, 오한, 혈뇨, 빈혈, 신부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혈액형을 수혈 받을 경우 생기는 문제는 면역반응입니다. 이는 수혈받은 사람의 면역체계가 수혈된 혈액안에 있는 적혈구에 있는 불일치하는 항원에 반응하여, 수혈된 혈액안에 있는 적혈구를 파괴시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게 되면, 수혈된 피의 혈구들이 수혈 받는 사람의 혈액과 상호 작용하여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수혈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혈 부작용은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을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혈액형은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으로 나뉘며, 이들 간에는 특정 항원이 존재합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을 경우, 수혈된 피의 항원이 수혈 받는 사람의 항체와 반응하여 혈소판 파괴, 출혈, 호흡곤란,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받으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됩니다. A형 혈액에는 A형 항원이, B형 혈액에는 B형 항원이, AB형 혈액에는 A형과 B형 항원이 모두 있습니다. O형 혈액에는 A형과 B형 항원이 없습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받으면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가 생성됩니다. 이 항체가 수혈받은 피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혈액 응고, 쇼크,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으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혈액 응고입니다. 혈액 응고는 혈액이 엉겨 붙는 것을 말합니다. 혈액이 엉겨 붙으면 혈액 순환이 어려워지고, 심장마비, 뇌졸중,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혈액형이 다른 피를 수혈 받게 되면 호환되지 않는 혈액형 간에 항원-항체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나타나는데, 이 시스템은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되며, 각 혈액형에는 대응하는 항원과 항체가 존재합니다.

    다른 혈액형의 피를 수혈 받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적혈구 파괴와 빈혈: 호환되지 않는 혈액형의 적혈구가 수혈되면 대상자의 면역체계가 이를 외부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합니다. 이 항체가 수혈된 적혈구에 결합하여 파괴시키는 항체-항원 반응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이나 다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발열 및 쇼크: 호환되지 않는 혈액형 간의 반응은 염증과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발열 및 쇼크와 같은 재미열적인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신기능 장애: 호환되지 않는 혈액형 간의 반응이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혈소판 파괴로 인한 혈전 형성이나 콩팥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항체-항원 반응을 피하기 위해서는 수혈할 때 반드시 수혈 대상자의 혈액형과 호환되는 혈액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ABO 혈액형 시스템을 기준으로 말하면, 수혈 대상자의 혈액형과 수혈할 혈액의 혈액형이 호환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혈 과정에서 혈액형 호환성을 철저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원과 항체의 복잡한 관계 때문에 항 B항체를 갖는 A형에겐 B형 피를 수혈할 수 없으며, 반대의 경우도 같다. 따라서 두 항체 모두 있는 O형은 모든 혈액형에게 피를 줄 수 있지만, 받는 건 같은 O형끼리만 가능하다. AB형은 모든 혈액형에게 피를 받을 수 있지만, 주는 건 같은 AB형끼리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A형을 가진 사람에게 AB 피를 수혈할 경우 A형 혈액에 있는 항 B항체가 B항원을 파괴, AB형의 피를 응집시킨다. 때문에 잘못 수혈 받으면 죽는다.

    출처 : 나무위키 - ABO식 혈액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