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싱어의 '능률의 저주'란 경제에서 어떤 의미를 갖나요?
안녕하세요
피터 싱어의 '능률의 저주'란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혹은 발전이 일정 부분에서는 오히려 더 많은 비용과 노동력을 요구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자세히 이해가 안가서요
경제에서는 어떤 의미를 갖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능률의 저주는 효율성을 추구하는 노력이 비현실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나 정부가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저비용 생산을 위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거나, 노동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위험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경제적 효율성 증진을 추구한 한 것(경제의 효율성)이지만 동시에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나아가 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를 능률의 저주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학적 의미에서 피터 싱어의 능률의 저주는 주로 자원 배분과 사회적 결정에 관련된 문제를 다룹니다. 이 이론은 경제학적인 선택과 도덕적 의무 사이의 갈등을 강조합니다.
경제학에서 자원은 한정적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도덕적 의무와 사회적 책임을 고려할 때,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입니다.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은 종종 가까운 이웃이나 가까운 시간에 더 큰 이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이나 미래의 세대들에게서 더 멀리 떨어져있는 문제들은 무시될 수 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자원 배분과 사회적 결정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과정에서 효율성과 도덕성을 조화시키는 것은 항상 도전적인 과제이며, 피터 싱어의 능률의 저주는 이러한 갈등에 대해 경제학자들과 사회학자들에게 고려할 가치가 있는 주제를 제시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피터 싱어의 능률의 저주 뜻은, 기술이 향상되고 그로인해 생산성이 증가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더 적은 노동자로 더 고 효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일자리 수요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일자리 불안정성과 소득 불평등이 증가할 수 있구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