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새마을 운동에서 새마을 유아원 운동은 무엇인가요?

새마을운동의 시작 중에 다방면으로 새마을 운동이 진행되었다고 하는데,

새마을 유아원 운동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구체적인 설명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을유아원의 개념과 설립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새마을유아원은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영·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하던 아동보육시설이다. 1982년 12월 31일 제정·공포된 「유아교육진흥법」에 근거해 당시 1,374개의 아동보육시설을 통합해 유아와 영아의 보육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취업모들의 탁아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1993년에 폐지되었고, 다시 어린이집이라는 명칭으로 전환되었다.

      설립 배경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탁아 수요가 폭증하였다. 정부는 1968년 3월 14일 「미인가 탁아시설 임시조치령」을 제정해 법인체가 아니어도 탁아소를 설치 ·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시설의 설치비, 운영비, 인건비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탁아소’의 명칭을 ‘어린이집’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다. 이후 어린이집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질적 수준은 매우 미흡하였다. 이로 인해 정부는 「미인가 탁아시설 임시조치령」을 폐지(1977.2.24.)하고, 「탁아시설운영개선방안」(1978.4.2.)을 마련해 일반 아동에게도 어린이집을 개방하고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운영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탁아사업은 정부의 재정지원 미흡, 어린이집 본래 기능의 퇴색 등으로 인해 양적 · 기능적 측면에서 위축 · 변질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새마을유아원 [새마을幼兒園]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호하고 교육하던 아동보육시설이다. 1982년 12월 31일 제정·공포된 「유아교육진흥법」에 근거해 당시 1,374개의 아동보육시설을 통합해 유아와 영아의 보육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취업모들의 탁아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1993년에 폐지되었고, 다시 어린이집이라는 명칭으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