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플로지스톤 이론에 따르면 금속의 연소 과정은 어떻게 설명되었나요?

과거 서구권에서 오랫동안 화학역사에서 플로지스톤 이론이 지배했는데요 그렇다면 플로지스톤 이론에 따르면 금속의 연소 과정은 어떻게 설명하엿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픞로지스톤 이론에 따르면 금속은 플로지스톤이라는 불의 원소 같은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금속이 연소 하거나 가열되면 이 플로지스톤이 방출된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금속이 불에 타거나 산화되면 플로지소톤이 빠져나가면서 금속은 칼크스로 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오랜만에 들어보는 이론 입니다. 사실 라부아지에의 질량보존의 법칙이 발견되기 이전의 주류 이론인데 모든 연소할 수 있는 물질이 연소할때 플로지스톤이라는 가상의 물질을 방출한다는 이론 입니다.

    모든 타는 물질은 플로지스톤을 포함하고 있고 연소자체가 이러한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는 과정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하지만 질량보존의 법칙이 발견되고 난뒤에 산소가 발견되면서 해당 이론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