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서버는 각각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기업들이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다뤗습니다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기업이 아마존 웹 서비스 같은 클라우드를 이용한다고 하는데요 크라우스 서비스와 기존의 온프레미스 방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서버의 장단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할수있고 초기 구축 비용 부담이 적으며 IT 관리 부담을 줄일수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비용이 증가할수있고 커스터마이징에 제약이 있으며 외부 해킹 위험도 존재합니다.
온프레미스 서버는 데이터와 하드웨어에 대한 완전한 제어로 보안성이 높고 기업 환경에 맞춰 자유로운 맞춤 설정이 가능합니다. 반면, 초기 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자원 확장성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초기 투자 비용이 높고 금융 권 등의 보안과 통제력이 필요한 업종이 아닌 이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빠른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초기 비용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임대형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며 유지보수 또한 제공업체가 대행하여 부담이 없습니다.
또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위치와 무관하게 접속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한다면 비용이 커질 수 잇으며 외부 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됨으로 데이터 유출이 접근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는 데이터를 통제하고 맞춤형 보완에 유리 합니다. 하지만 초기 비용이 매우 높고 유지보수에 따른 자체 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접근성도 사내 및 VPN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을 갖추어 비교적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클라우드는 비용과 확장성 및 신속한 도입이 강점으로 나타나고 온프레미스는 데이터 통제 및 보안 대응에 유리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역량과 예산 및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초기 비용이 낮고 확장성과 접근성이 뛰어나며 유지보수가 간편한 반면에 보안과 데이터 통제 측면에서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서버는 보안과 데이터 통제력이 강하고 맞춤 구성이 가능하지만 초기 구축 비용이 높고 유지관리 부담이 큰데요. 결과적으로 클라우드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유리하고, 온프레미스는 안정성과 내부 규제가 중요한 기업에 적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