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가 세포보다 큰 경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바이러스라는건 보통 세포보다 작은 것으로 전자현미경인가로만 관찰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데요. 혹시 바이러스 중에서 세포보다 큰 경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훨씬 작습니다.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기생을 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세포보다 큰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속칭 거대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것 중에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미미바이러스(Mimivirus)입니다. 미미바이러스는 일반적인 바이러스보다 큽니다. 크기가 약 0.7 마이크로미터(µm)에 이릅니다. 이는 일부 박테리아와 유사하거나 심지어는 더 큰 크기입니다. 미미바이러스는 2003년에 발견되었으며, 그 크기와 복잡성 때문에 초기에는 박테리아로 오인되기도 했습니다.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매우 작고 단순한 구조를 가져, 일반적으로 세균세포보다 100배정도 작습니다.
20여년전 자이러스혹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로 불리 거대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습니다.
200nm이상의 크기인 바이러스가 여기에 속합니다.
크기가 크고 가지고있는 유전자의 수도 많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종류 중 가장 큰 피토바이러스는 1500nm의 거대한 크기를 가집니다.
이는 대장균과 비슷한 크기입니다.
이들은 매우 커서 성능이 좋은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거대한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심지어 바이러스에 감염하는 바이로파지라는 바이러스도 발견되었습니다.
또 거대바이러스는 이런 바이로파지에 대항하기위해 크리스퍼유전자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없습니다. 가장 큰 바이러스도 가장 작은 박테리아보다 작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니오,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가 없는 최소 단위의 감염성 입자로, 일반적으로 20~300nm 정도의 크기를 가집니다. 반면 세포는 가장 작은 생명체의 기본 단위로, 수천 nm에 달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할 수 없고 숙주 세포에 기생하여 증식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숙주 세포 안으로 침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자체가 숙주 세포보다 크다면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바이러스 크기는 세포보다 작을 수밖에 없습니다. 즉, 바이러스가 세포보다 큰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훨씬 작은 입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큰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mivirus라는 종류의 바이러스는 상당히 크기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Mimivirus는 세포 내부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로, 일반적인 바이러스보다 훨씬 크기가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인간과 같은 동물과 식물 등의 생명체에서 감염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체이며, 스스로는 증식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살아있는 숙주세포가 있어야만 증식이 가능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보통 원핵생물의 일종인 세균의 50~100분의 1 정도의 크기로 매우 작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진 바이러스는 '판도라 바이러스'인데요, 이 바이러스의 길이는 1.2마이크로미터라고 하며, 세균이 0.5μm부터 0.5㎜까지의 크기인 것을 고려했을 때 가장 큰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큰 경우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훨씬 작은데,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크거나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mivirus라는 바이러스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세포와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형 바이러스는 일반적인 바이러스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들어가서 복제되는 작은 유기체로, 세포보다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