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14

'속물 효과'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시장에서 제품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 중에

속물 효과, 다른 말로는 백로 효과라고 하는 현상이 있는 듯 한데요

정확히 이 효과가 수요와 공급과 어떤 관련이 있는건가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속물효과는 보통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도 지칭하는데 사람들이 많이 구매하는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자신을 다른 사람과 구별 지으려는 태도가 속물 같다고 해서 속물효과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조금 고급스럽게 표한한 것이 백로효과인데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바로 백화점의 VVIP서비스이며, 보통은 명품을 구매하게 될시에 이러한 효과를 적용해서 말하게 됩니다. 이 백로효과를 이용한 마케팅의 특징은 공급을 적게 한다는 것이며, 방금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명품들이 수제로 '한정된 수량'만을 공급하기에 이 한정된 수량이 곧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결정짓는 것으로 판단해 수요가 몰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명품의 경우 한정판인 경우에는 오히려 출시후에 가격이 더 상승하기도 하는 것이 이러한 이유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속물효과 또한 백로효과, 스놉효과라도 불리우며 어떤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면 희소성이 낮아진다고 판단해 구매하지 않고 오히려 더 비싸지면 개성있는 다른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을 일컷어 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속물효과는 다른 사람과 차이를 두고 싶은 속물처럼 타인과의 차별화를 위해 소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비슷한 말로는 백로 효과, 반대되는 말로는 편승 효과가 있습니다. 백로 효과는 특정 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희소성이 떨어져 차별화를 위해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아한 백로처럼 남들과 다르게 보이려는 심리를 반영한다고 해서 백로 효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속물효과란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면

    그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소비현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특정 인기브랜드가 잘 팔리면 희소성이 떨어져서

    사람들이 그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종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속물 효과, 백로 효과, 스놉 효과(Snob effect)라고 불리는 경제 현상이 수요와 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속물 효과는 타인이 특정한 재화를 많이 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스스로 그 재화의 소비를 줄이거나 중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속물 효과는 수요에 음(-)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2. 경제 심리학에 따르면 속물 효과는 다른 사람과 차이를 두고 싶은, 소위 말하는 '속물'과 같이 타인과의 차별화를 위하는 심리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특정 재화에 대한 소비가 다수의 대중들에게 확산되면 그러한 소비가 더 이상 자신의 신분이나 위상을 차별화하는데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과거 대한민국에서 롯데캐슬, 자이와 같은 프리미엄 아파트가 흔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요즘 서울은 물론 도시 곳곳에서 고층 프리미엄 아파트는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래티넘 카드는 이제 더 이상 상류층으로서의 사회적 지위를 표현해 준다고 보기 어렵기도 합니다. 과거 상류층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경쟁적으로 소비했던 재화를 통해서는 더 이상 그들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4.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소비하고 있던 재화의 소비를 중단하거나 다른 재화를 소비하는 현상을 속물 효과라고 합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