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몇가지 문의드려요.
최근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점점 녹아서 펭귄들의 주 먹이인 크릴새우를 각종 영양제로 만들려는 인간의 욕심에 먹이활동을 거의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하던데요. 궁금한건
1. 펭귄은 왜 날지를 못하는지 알려주세요.
2. 펭귄은 어떻게 수많은 펭귄들 무리속에서 자기 부모를 찾아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이 하늘을 날지 못하는이유는, 펭귄에 남극의 환경에 맞추어 날개가 지느러미로 변화 하였기 때문입니다.
새끼와 부모의 의사전달은 소리로 합니다.각 펭귄가족이 공유하는 고유한 소리가 있어서 이 소리로 서로를 분간하는데, 바다에 갔다 와서도 이렇게 소리를 듣고 서로 확인하며 먹이를 먹입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날지 못하는 이유는 몸무게와 날개의 구조 때문입니다. 펭귄은 물 속에서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 수영에 적합한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펭귄은 부모를 찾는 데 있어서 청각과 후각을 이용합니다. 부모는 특정한 울음소리나 냄새로 자신의 새끼를 인식하고, 새끼 역시 부모의 울음소리와 냄새를 기억하여 찾아갑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펭귄은 물속에서 빠르게 수영하며 먹이를 잡기 때문에 펭귄의 날개는 수영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또 추위를 피하기위해 두꺼운 지방과 털을 갖고 있어 비행하기에는 무게가 무겁습니다.
그리고 펭귄은 자신의 부모를 찾아가는 방법으로 냄새를 사용합니다. 새끼 펭귄은 부모 펭귄의 냄새를 기억하고 있으며, 어디에 있는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조류이긴 하지만 먹이를 바다에서 구함에 따라 비행이 필요없어졌고 그에 따라 날개가 퇴화된 생물입니다.
펭귄이 날지 못하는 이유는 펭귄은 수중에서 사는 새로서 날개가 물에 적합하게 진화해 왔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날개는 둥글고 짧으며, 수중에서먹이를 잡는 데 적합합니다. 그러나 공중의 비행에 필요한 날개의 형태와 기능이 부족합니다.
펭귄이 무리속에서 자기 부모를 찾아갈 때, 주로 목적지를 기억하고 냄새와 소리로 서로를 찾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