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고귀한나비225
고귀한나비22522.06.03

병원 처방약과 노이로민정 복용 괜찮나요?

나이
3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이번에 병원에서 진료 받고

에펙스정,모티라이드,삼진디아팜정2mg

록프라정 처방 받아서 하루 3번 먹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침, 저녁에 1알씩 노이로민정 먹고 있습니다

처방약과 노이로민정

한꺼번에 다 먹진 않고 몇시간 텀 두고 먹는데

상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에펙스정,모티라이드,삼진디아팜정2mg과 함께 노이로민정은 유의미한 약물상호작용이 없으므로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시간간격이 굳이 필요해 보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영 약사입니다.

    노이로민 복용이 디아팜(디아제팜. 안정제)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디아팜을 복용하는 기간동안 가급적 노이로민 복용을 중단하시도록 하세요.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에펙스정<에페리손염산염 50mg>

    모티라이드<레보설피리드 25mg>

    삼진디아제팜정2mg<디아제팜 2mg>

    록프라정<록소프로펜나트륨수화물 68.1mg>

    노이로민정<세인트존스워트80%메탄올건조엑스 300mg>

    위 약들중 상호작용하는 의약품이 없으니 안심하고 복용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에펙스정,모티라이드,삼진디아제팜정2mg, 록프라정을 근육통때문에 드시나요? 노이로민정을 추가한뒤로 근육통 완화효과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노이로민정이 삼진디아제팜정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노이로민정은 삼진디아제팜정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다른 약들과는 상호작용은 없습니다.

    복용시간차를 두더라도 효과를 떨어뜨리기는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상관이 없습니다. 해당 약은 세인트존스워트80%메탄올건조엑스 300mg로 불안, 무기력 그리고 일시적인 우울 등에 사용하는 일반의약품으로 현재 드시는 다른 약들과 서로 상호작용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같이 드셔도 되고 드시는 약이 많다고 판단되면 시간 텀을 두고 드셔도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노이로민정이 삼진디아제팜정의 효과를 저해시킬 수 있습니다. 그외에는 상관없이 복용하셔도됩니다. 시간차이를 두고 드셔도 효과를 낮추는건 동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노이로제정은 세인트존스워트가 함유된 약으로, 이러한 약은 항우울제 정도 주의해서 드셔야 합니다.

    2. 해당처방약과 노이로민 사이에 알려진 상호작용은 크게 없습니다. 굳이 시간차이 둬서 드실 필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이번에 병원에서 진료 받고 에펙스정,모티라이드,삼진디아팜정2mg 록프라정 처방 받아서 하루 3번 먹고있는 경우 노이로민정과 서로 상호작용이 있지 않기에 함께 복용해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꼭 필요 시에는 병요하나 가능한 같이 안드시는 게 좋겠네요

    -----------------------------------------------------------------

    병용 금기

    abacavir sulfate (as abacavir)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asunaprevir : 아수나프레비르에 대한 바이러스 반응의 소실을 유발 가능
    cobicistat silicon dioxide (as cobicistat) : Cobicistat 및 Elvitegravir의 혈중농도 감소로 치료효과 소실 및 내성 발현 가능
    dabigatran etexilate mesylate (as dabigatran etexilate) : 다비가트란의 혈중농도 감소
    daclatasvir hydrochloride (as daclatasvir) : 다클라타스비르에 대한 바이러스 반응의 소실을 유발 가능
    efavirenz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elbasvir : 엘바스비르와 그라조프레비르의 혈장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바이러스학적 반응 감소 가능
    elvitegravir : Cobicistat 및 Elvitegravir의 혈중농도 감소로 치료효과 소실 및 내성 발현 가능
    emtricitabine : Cobicistat 및 Elvitegravir의 혈중농도 감소로 치료효과 소실 및 내성 발현 가능
    etravirine : 에트라비린의 혈중농도가 감소하여 치료효과 감소 혹은 내성발현
    glecaprevir : Glecaprevir와 Pibrentasvir의 혈장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바이러스학적 반응 감소 가능
    grazoprevir : 엘바스비르와 그라조프레비르의 혈장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바이러스학적 반응 감소 가능
    lamivudine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ledipasvir : 레디파스비르 및 소포스부비르 혈장 농도를 현저히 떨어뜨려 이 약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
    lopinavir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micronized dolutegravir sodium (as dolutegravir)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nevirapine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palbociclib : 팔보시클립의 혈장 농도 감소
    pibrentasvir : Glecaprevir와 Pibrentasvir의 혈장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바이러스학적 반응 감소 가능
    rasagiline mesylate (as rasagiline) : 고혈압위기, 세로토닌증후군 발생 위험 증가
    rasagiline tartrate (as rasagiline) : 고혈압위기, 세로토닌증후군 발생 위험 증가
    rilpivirine hydrochloride (as rilpivirine) : 릴피비린의 혈중농도가 감소하여 치료효과 감소 혹은 내성발현
    ritonavir :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sofosbuvir : 레디파스비르 및 소포스부비르 혈장 농도를 현저히 떨어뜨려 이 약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
    sofosbuvir : 소포스부비르 혈장 농도를 현저히 떨어트려 소포스부비르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
    tenofovir alafenamide fumarate (as tenofovir alafenamide) : Cobicistat 및 Elvitegravir의 혈중농도 감소로 치료효과 소실 및 내성 발현 가능
    voriconazole : Voriconazole의 농도 감소

    기타 이 약의 복용시 주의할 사항
    1) 지금까지 이 약에 의한 급성 중독증상은 보고된 바 없다. 과용량 복용후 광독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1 ∼ 2주일 동안은 태양광선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보호되어야 한다(외출시간을 줄이고, 의복 및 햇볕차단지수가 높은 햇볕보호제품을 이용하여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2) 이 약은 CYP-450 대사효소를 유도하므로, 이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다음 의약품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이상반응이 동반될 수 있는 약들을 동시 투여시 이 약의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면 혈장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의약품과의 병용은 가능하면 피하고 부득이하게 병용 시에는 이상반응 발현 여부 및 아래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1) 강심약(디기톡신, 디곡신, 메틸디곡신 등), 기관지확장제(아미노필린, 콜린테오필린, 테오필린 등), 항부정맥약(아미오다론, 퀴니딘, 디소피라미드, 프로파페논, 리도카인 등), 항경련약(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프리미돈 등), 진정수면제(미다졸람 등)와 병용시 이러한 약들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투여 시작시와 종료시 이러한 약들의 효과에 대한 신중한 모니터링 실시가 필요하다.
    (2) 경구 또는 주사용 피임제(에티닐에스트라디올, 데소게스트렐, 노르에티스테론, 레보노르게스트렐 등) 또는 이 약물을 포함한 피임기구(이식제 포함) 등의 효능 감소 및 부정 성기출혈의 발현율이 증가할 수 있다.
    (3) 편두통치료제(수마트립탄, 나라트립탄, 리자트립탄, 졸미트립탄 등)와 병용시 이러한 약들의 이상반응이 증가할 수 있다.
    (4) 선택적세로토닌재흡수저해제 등 항우울제(이미프라민, 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설트랄린, 네파조돈, 에스시탈로프람, 벤라팍신 등)와 병용시 구역, 구토, 불안, 안절부절, 혼란이 나타나는 등 이상반응이 증가할 수 있다.
    (5) 메사돈 : 메사돈 혈중 농도 및 효과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메사돈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47 %까지 감소한 보고가 있다.
    (6) 지질저하제(심바스타틴과 같은 특정 HMG-CoA reductase 저해제(프라바스타틴은 제외))와 스테로이드 호르몬(경구용 또는 정맥 투여용)의 작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7)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및 COX-2 저해제 등의 관절염치료제, 칼슘채널 차단제 등의 혈압강하제, 경구용 혈당강하제(metformin) 또는 기타 혈당조절제, 마약성 진통제 등도 이약과 잠재적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