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8

대기권과 상층권의 온도차이는 왜 나는 건가요?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점점 올라 가게 되면 온도가 내려 가던데

어떤 이유로 지상과 온도차이가 있는 건지 궁굼해요.

상층으로 올라가면 태양과의 거리가 더 가까워 져서 온도가

올라 가야 되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론 아닙니다

    대류복사열이 높이가 높아질수록 낮아져 더 춥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층권에는 태양에너지 중 자외선영역을 흡수하는 오존층이 있기때문에 온도가 대류권상층보다는 높은편에 속합니다.

    대류권 위쪽으로갈수록은 지구의 복사에너지가 멀어ㅣ기때문에 온도가 내려갑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대기는 지구 중력에 붙잡혀서 즉,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공기층인데요..

    고도에 따라 대기~ 대기권으로 나누고 있죠

    지표면에서 고도로 구분하면..

    0~15km대류권, 성층권 ~50km, 중간권 ~85km, 열권 ~690km, 외기권은 ~10000km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고도가 상승하면서 대기권의 온도는 감소와 증가를 반복적이면서 불규칙적으로 변하는데..

    그 이유는..성층권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오존의 생성반응이 발열반응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만약 성층권(오존층)이 없다면, 즉, 오존의 생성반응이 없다면,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지표면의 복사열(지구 복사열)이 감소하기

    때문에, 중간권까지 점진적으로(규칙적으로) 감소할 것입니다.

    열권에서 다시 온도가 상승하는 이유는 열권에 존재하는 질소, 산소 원자들이 태양 복사에너지 중 단파장 영역을 흡수하기 때문이구요.

    이렇게 열권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영향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며..공기가 희박하여 낮과 밤의 기온차가 매우 큰 특징이

    있습니다. 대류가 일어나지 않고..따라서 기상현상도 없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는 대기의 구성과 태양 복사에너지의 흡수, 방출, 대류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태양과의 거리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대기의 역할과 여러 다른 요소들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8

    안녕하세요.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것은 대기의 구조와 태양 복사의 특성에 기인한 현상입니다.

    지표면에서부터 대기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대기의 밀도가 점차 감소합니다. 이는 상층으로 갈수록 대기 분자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대기 분자 수가 줄어들면 분자 간의 충돌도 줄어들어 열 전달이 제한되어 온도가 낮아집니다.

    또한, 태양 복사의 특성도 온도 차이에 영향을 줍니다.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복사 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는 높습니다. 그러나 대기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받은 태양 복사 에너지가 대기에 의해 흡수되고 반사되며, 이로 인해 대기 상층의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대기 상층에서는 복사된 열에너지를 다시 지표면으로 되돌려주는 대류 현상도 상대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열 손실이 많아지게 되어 온도가 더욱 낮아집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대기의 밀도 변화와 태양 복사의 특성 때문에 온도가 내려가는 것입니다. 태양과의 거리가 상층으로 갈수록 가까워진다는 개념은 기본적으로 틀린 개념이므로 온도 변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과 상층권 사이의 온도차이는 대기권의 성분과 구조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대략적으로 대기의 99%가 해수면과 지표면에서 16km 이하에 위치한 대기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기권에서 지표면으로 갈수록 대기 분자들이 밀도가 증가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데 더 많은 열이 소비됩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에서 대기 중의 열은 빠르게 지상으로 전달되어 지표면의 온도가 높아집니다.

    반면, 대기권의 상층으로 갈수록 대기 분자의 밀도가 감소하면서 열 전달이 적어지고, 지상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상과는 달리 직접적인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상층권의 대기는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일단 발생한 열이 잘 보존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기권과 상층권 사이에는 온도차이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은 지구 표면 부터 시작해서 약 1000KM에 이르는 대기층을 말합니다.

    대기권은 4개로 나눌수가 있는데 가장 아래부터 대기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어 집니다.

    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경계로 대기권을 나누죠.

    그래서 대기권에서 온도가 변하는 3개의 계면이 있고요.

    대기권은 위로 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집니다. 중력 때문이죠.

    그 다음 대류권 부터 설명을 하겠습니다. 대류권은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대기층 입니다.

    이유는 위로 갈수록 태양 복사 에너지(=지구복사에너지)가 적어져 위로 올라갈 수록 춥죠.

    높은 산에 만년설이 덮히는 것이 그 이유때문입니다.

    또 수증기가 있어 기상현상이 일어나고요. 대류현상도 일어납니다.

    다음은 성층권에 대해 설명들어가겠습니다. 성층권은 위로 올라갈 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그 이유는 오존층의 존재 때문인데요.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생명체들을 보호합니다. 하지만 요즘 냉장고나 각종 스프레이 사용으로 오전층이 뚫리기 시작하죠.

    아무튼 오존층이 태양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체가 살수 있고 그 때문에 성층권은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또 기상현상이 없어 비행기가 다니는 대기층이죠.

    다음은 중간권입니다. 여기서 다시 기온이 떨어집니다. 대류권 처럼요. 그리고 여기서 유성이보입니다.(열권에서 보인다는 내용도 있습니다만...)

    그다음은 열권인데요. 열권은 태양열을 그대로 직빵으로 받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또 여기서 오로라가 있죠.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는 지구의 대기 구조와 태양 복사에너지의 흡수와 방출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구의 대기는 대기권이라는 층으로 나누어지며, 대기권은 대략적으로 대류권, 평온권, 중간권, 열권, 외계권으로 구성됩니다. 대류권은 지표면에서 상당한 높이까지 이어지는 대기층으로, 대기의 대부분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 에너지는 대기 상부로부터 하강하면서 지표면에서 흡수되며, 지표면은 이 흡수된 에너지를 다시 방출합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대류권에서 발생하며,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고 열 전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반면, 태양과 지표면 사이의 거리 변화는 상대적으로 작아 온도의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지구의 대기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온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고도에 따라 대기의 압력이 변하고, 지형의 차이로 인해 바람이 형성되는 등의 요인이 온도 차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는 것은 태양과의 거리보다는 지구의 대기 구조와 태양 복사에너지의 흡수와 방출에 의한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