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고물가시대를 살고 있는데 생존전략 같은 게 혹시 있을까요?

요즘 유행하는 용어가 냉파라고 있던데 장을 보지 않고

냉장고를 파먹기를 줄여서 냉파라고 한다고 하네요.

이처럼 시장 보기가 겁이 나던데, 얼마 전 모 마트에서 윤 대통령의

파 한 단에 875원이라는 말이 화제가 되었는데, 서민의 한 사람으로서

마음이 아프더라구요.

개인이 노력해야 할 것도 있지만 나라 정책도 시급한 거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한국의 경우 주요 필수재를 수입해야 합니다. 주요 원자재, 에너지 및 식자재를 수입해야 하는데 내수 물가만큼 수입물가도 매우 미세하고 신중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최근 고물가 추세는 한국 뿐 아니라 글로벌 공통입니다. 다만, 일본처럼 고물가 가운데서도 낮은 물가 상승률을 시현하고 있고 엔저로 인해 수출이 활황이며 노동자를 구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고용 시장은 양호합니다.

      한국의 국민의 구성원으로서 고물가 극복은 아쉽지만 절약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물가로 인하여 부가가치세나 이러한 세금 등을

      낮추는 것도 방법일 수도 있으며 고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인상 등도

      주요한 정책 중 하나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국 개인이 계획성있는 소비를 잘하고 아하 같은 앱테크 자투리 시간에 하고 열심히 사는게 답 같아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물가 시대에서는 아무래도 국가가 높은 금리를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는 시기이다 보니 최대한 소비를 줄이시고 이러한 소비를 줄여서 남은 이익을 대출금 상환을 하시거나 저축을 하는 방안으로 소비+저축+대출금상환 형태로 움직이시는 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를 줄이고 절약을 실천하여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세요.

      그리고 금융 목표를 설정하고 금융 계획을 세워 비상자금을 마련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