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6

미국이 금리인상을 한다면 우리나라에 어떤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미국이 2023년에도 금리인상을 지속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금리인상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금리차가 커진다면 높은 금리로 국내에 투자된 자금이 미국으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원화가치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 금리정책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의 독립적인 영역이라고 강조하지만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에 어느정도 발을 맞출수밖에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치게 되는 영향은 달러의 강세에 의한 환율 상승이라는 영향을 들 수가 있습니다. 전 세계 모든 교역의 기초가 되는 화폐는 모두가 아시듯이 '달러'라는 기축통화입니다. 환율이라는 것은 해당 화폐에 대한 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는 상대적인 가치인데,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달러 대비 다른 국가들의 화폐는 수요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곧 '달러강세'에 의한 환율 상승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작년 7월을 기점으로 미국이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게 되다보니 환율이 1,200원에서 1,460원까지 빠르게 상승하게 되었는데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 것은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이었습니다.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게 되다 보니 이 원자재를 통해서 생산하게 되는 제품의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고 결론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작년 7월의 기사를 찾아보시게 되면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전 세계에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다른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다보니 결론적으로 '강달러 시장'이 형성되었고 다른 국가들은 이에 대비해서 화폐의 약세로 이어지게 되면서 다른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은 빠르게 상승하였던 것입니다.

    다만 최근 작년 11월 10일 기점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내려가고 있어 미 연준의 긴축 속도가 느려지고 긴축 정점이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인해서 향후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격차가 좁혀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이로 인해서 11월 11일 하루 50원의 환율 하락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달러환율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환율이 하락하고 있더라도 이는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으로 여전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나라에게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이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경기 둔화가 그대로 파급되는 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일시적인 물가상승 외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사회후생의 관점에서 미국 금리에 동조하는 정책보다 국내 물가와 경기 여건에 따라 운용하는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효용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리고 최근 우리 경제의 상황을 보면, 물가안정목표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물가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미국과 한국 간의 물가와 경기 상황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기준금리 격차는 용인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