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액성 화학반응식 질문이요!!(1)
강사님이 염기성 용액을 만드는 염은 약산과 강염기로 된 염이라고 설명을하면서 예시를 NaF를 들어주셨는데요.
Na+는 물과 반응을 안해도 산이나 염기의 성질을 갖지 않는다고 하시면서 거르고
HF는 약산이기 때문에 짝염기인 F-를 가지고 F- + H2O ⇌ HF + OH-인데 역반응이 우세하지만 미량의 HF와 OH-가 남아 있어 NaF는 염기성 용액을 만드는 염이라고 하시더라구요.
여기서 질문이 몇 개 있는데요.
질문 1 : NaF는 강염기와 약산이 만난 염인데 그럼 Na+는 강염기의 짝산이니 약산이고, F-는 약산의 짝염기니까 강염기잖아요.
그럼 Na+는 약산이여도 산은 산이니까 H+를 내놓는 거 아닌가요? 물과 반응할 때 H+를 조금이라도 내놓으니까 약산이라고 정의된건데, 왜 이 경우에는 Na+가 산이나 염기의 성질을 갖지 않는다고 하는 건가요?
질문 2 : 강염기인 F-의 경우는 F- +H2O ⇌ HF + OH-지만 역반응이 우세해서 HF와 OH-는 미량으로 존재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F-가 강염기 이면 해당 화학 반응식은 정반응이 우세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약염기면 역반응이 우세한건 맞지만 강염기인 경우에는 정반응이 우세하다고 알고 있었는데, 왜 위의 반응은 강염기인데도 역반응이 우세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일반화학에서 염기성 용액을 만드는 염에 대해 논의할 때, 그 반응성과 분자의 성질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aF를 기준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질문 1 : Na⁺의 산성도
Na⁺는 나트륨 이온으로, 알칼리 금속에서 나오는 강염기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NaOH)의 산화 제품입니다. 이 이온은 물과 반응하여 H⁺이온을 방출하지 않습니다. Na⁺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불활성인 이온으로, 물과 반응하여 산이나 염기의 성질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Na⁺가 "강염의 짝산" 이라고 언급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그 자체로는 중성 이온으로 작용하며, 물과 반응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질문 2 : F⁻의 염기성
F⁻ (플루오라이드 이온)는 HF(불화수소)의 짝염기로, HF는 약산입니다. 이론적으로 F⁻는 염기적 성질을 갖고, 물과 반응하여 OH⁻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는 '강염기'라기보다는 '약염기'로 분류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실제로, F⁻의 염기성은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F⁻와 물의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F⁻ + H₂O ⇌ HF + OH⁻
이 반응에서 정반응이 완전히 우세하지 않고, 어느 정도 역반응도 존재합니다. 이는 HF가 완전히 강한 산이 아니라 약산인 것과 유사한 이유로, F⁻도 강한 염기가 아니라 약염기라는 사실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이 반응에서는 OH⁻이 미량으로 생성되며, 이는 용액에 약간의 염기성을 부여합니다.
요약드리면, Na⁺는 물과 반응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F⁻는 염기적 성질을 갖지만 강염기는 아니라 약염기로 분류되어 역반응도 일부 존재합니다. 따라서 NaF 용액이 약간의 염기성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화학적 성질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