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수려한남생이222
수려한남생이222

물묻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면 감전되는 이유

V=IR 공식과 관련이 있어보이는데, 물 묻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면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어서 감전이 되는 것 아닌가요? 그러면 저항 값이 작아지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물 묻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면 감전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는 물이 전류를 잘 통하게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V=IR 공식을 고려할 때, 저항이 작아지면 동일한 전압 조건에서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됩니다. 물은 비교적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로, 손이 젖어 있으면 피부의 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전류가 더 쉽게 흐르게 됩니다. 이 때문에 감전될 위험이 있습니다. 항상 전기 제품을 사용할 때는 손에 물기가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물 묻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면 감전될 위험이 커지는 이유는 손에 묻은 물이 전류가 흐르기 쉽게 하는 매개체가 되기 때문입니다. 물은 전기를 잘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어, 피부의 저항 값을 크게 낮춥니다. 따라서 V=IR 공식에서 손의 저항(R)이 작아지면, 같은 전압(V)에서 더 많은 전류(I)가 흐르게 되어 감전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기본적으로 인체는 전류에 민감하므로, 전류가 0.001A만 넘어도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물 묻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게 되면, 기존의 경우 플라스틱 케이스 등으로 절연된 상태이나 물을 통하여 전류가 손을 통하여 몸으로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즉, 물의 경우 전기를 잘 흐르게 해주는 전도성 물질이기 때문에 손과 물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물에 젖은 손의 경우 저항값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져와 동일한 전압하에서는 저항값이 낮아져 더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 전기가 통하는 것을 전기전도도라고 합니다. 즉 전기전도도는 전기를 전달하는데 저항이 작을수록 전기가 잘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의 손에는 전기전도도가 작습니다. 즉 전기가 통하기에는 저항이 높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물에는 전해질이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저항이 작아서 전기가 흐르게 되고 그로 인해서 사람이 감전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물묻은 손에 전기가 잘통하는 이유는 물의 저항이 매우 낮기 때문이죠. 거기에다 전해질이 전자의 이동을 매우 원활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절대 물묻은 손으로 콘센트 만지면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물에 젖은 피부는 마른 피부에 비해 전기 저항이 훨씬 낮아 전류가 더 쉽게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젖은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면 더 많은 전류가 몸을 통과하게 되고 감전이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