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고구려가 수나라와의 전쟁시 수나라의 별동대 30만이 돌아갔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나라의 침입 당시 살수대첩이 별동대 30만이 퇴각하는 과정에서 전멸시킨 전투였다고 하죠.

그런데 이때 30만이면 상당히 많은 병력이지만 애초에 왜 평양성을 제대로 공격하지도 못하고 퇴각을 결정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중문이 이끄는 수나라 30만별동대는 평양성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퇴각합니다. 그 이유는 고구려 장수 을지문덕이 사용한 계략 때문입니다. 을지문덕이 거짓으로 패배한느 척하며 수나라 군대를 유인하였던 것입니다. 즉 청야 전술로 수나라 군대가 고구려 영토 안에서 식량을 얻지 못하도록 하고, 유인 작전으로 수군을 지치게 했습니다.

    우중문은 을지문덕의 시를 읽고 자신이 함정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고 퇴각하였지만 결국 살수에서 대패하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수나라는 백만대군을 일으켜 고구려를 침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전선이 교착상태에 이르자 30만 대군으로 하여금 길을 돌아가 수도인 평양으로 향하게 했습니다.

    삼십만의 별동대는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고 계속 진군하여 살수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이때 고구려군의 지휘자인 을지문덕의 사신이 수나라군 지휘자 우문술을 찾아옵니다.

    여기서 그 유명한 을지문덕 장군의 시가 나옵니다.

    귀공의 귀신 같은 계책은 하늘의 이치를 깨달았고
    신묘한 계산은 땅의 이치지리에 통달했구나
    전쟁에 이겨 쌓은 공이 이미 높으니
    만족함을 알고 그만 돌아가는 것이 어떠하랴

    이런 시가 적힌 서신을 받은 우문술은 자신이 고구려군의 계책에 속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너무 적진 깊숙이 들어왔고 계속된 행군에 군사들이 크게 지쳐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안 것입니다.

    그리하여 급히 퇴각을 하려 했지만 고구려군의 매복과 기습으로 인해 살수에서 큰 패배를 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