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펌횟수가 다른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더나 리플이나 거래소에서 다른거래소 이동을 하다보면
컨펌횟수는 5회입니다 컨펌횟수는 3회입니다
이런식으로 다르게나오는데요
이중지출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컨펌횟수를 늘리게되면 이중지출을 방지하는데
도움이되나요? 속도면에서는 좀걸리더라구요.
그리고 이중지출이라하면 두번지출이잖아요 두번다
제가 승인을해야 지출이되는것 아닌가요?한번만
승인을 제가할경우에도 이중지출이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암호화폐가 각각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에대해 문의 하셨는데요.
거래소별로 입금 판단기준이 다르기때문에 거래소별 컨펌횟수를 암호화폐별로 정하고 있습니다.
컨펌횟수가 다른 이유는 각 코인별 이체수수료및 거래처리속도가 다르며. 각 거래소 또한 거래수수료와 송금 속도가 다릅니다. 또한 해커들의 공격또는 잘못된 거래 위변조 등에 대응해서 컨펌수를 높여서 신뢰성을 높이기위해 컨펌수를 바꾸기도 합나다.
그렇기 대문에 판단기준으로 각각 정해놓은 일정 컨펌수를 충족하거나 그 이상이 되어야 입금처리를 해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각 암호화폐 별로 필요한 컨펌수가 다른 이유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마다 전체 컨펌에 필요한 노드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노드의 절반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거래가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컨펌을 얻게 되는데요. 컨펌 수를 충족하면 이 거래는 완전히 비가역적이고 완결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죠.
컨펌횟수를 늘리면 질문주신 것처럼 이중 지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예로 들어보면 6컨펌이 필요하고 거래 시작 후 현재 블록으로부터 6블록이 더 생성이 되면 비가역적 완결성을 갖추어 이중 지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네트워크상의 차이보다는 거래소 기준이 달라서 생기는 일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어떤 거래소는 입금을 위해 30컨펌을 요구하기도 하고 어떤 거래소는 50컨펌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거래소별 차이에 의해 컨펌 수가 달라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