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불꽃감지기의 동작원리와 초전효과란?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적용되는 불꽃감지기의 동작은 어떤 원리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되며 불꽃감지기에서 말하는 초전효과는 무엇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불꽃감지기는 불꽃 발생시 초전소자가 적외선을 감지하여 기전력이 발생되는데 이 신호에 의해 FET가 동작하여 화재신호를 보냅니다. 초전효과란 빛을 받으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불꽃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불꽃의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감지해 화재를 알리는 장치입니다. 이 감지는 전자기파의 특정 대역을 센서가 탐지하면서 이루어집니다. 불꽃에 포함된 자외선(UV)이나 적외선(IR)을 센서가 감지해 일정 거리 내에서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방식이죠. 이때 불꽃감지기에서 사용되는 초전효과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물질의 전기적 성질이 변하는 원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초전효과로 인해 적외선에 민감한 센서가 만들어지며, 이는 열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미세한 불꽃 변화도 감지할 수 있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